조직개편 파장 수습 서두르는 문화체육부…백화점식 업무 통합 숙제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차기정부가 문화체육부에 던져준 숙제는 서울의 교통보다 더욱 복잡하고 어렵다.

문화관광부로의 명칭 변경.국립극장의 민영화.지방박물관의 지방자치단체 이관.공보처 기능 흡수 등 갑자기 떨어진 문제가 많아 문체부로서는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어수선한 상황이다.

◇ 기구개편 = 현재의 1차관보.3실.6관.6국.6담당관.31과를 1차관보.2실.4관.6국.6담당관.29과로 변경. 공보처의 기능이 이관된 점을 감안할 때 조직이 줄어들었다.

이름도 '문화부' 안이 야당의 입김에 의해 '문화관광부' 로 바뀌고 청소년정책실.문화정책국.예술진흥국은 각각 청소년국.문화국.예술국으로 변한다.

체육정책국과 국제체육국은 체육국으로 통합된다.

청소년국은 1개과가 줄고 체육국은 7개과에서 4개과로 축소된다.

문화정책국의 문화교류과는 해외공보관으로 이관하고 공보처에서 오는 신문방송국은 문화산업국으로 흡수된다.

또 문화산업국의 저작권과는 문화국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순수문화예술.체육.관광.청소년.해외공보.방송 등 서로 다른 업무를 백화점식으로 끌어모아 앞으로 이에 대한 교통정리가 시급하다.

◇ 국립중앙극장 민영화 = 국립극장은 내년에 민영화된다.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맡고 있는 다른 공연장들에도 잇따라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그러자 당장 신분에 위협을 느끼는 당사자들로부터 항의가 쏟아지고 있다.

국립극장은 19일 대책회의를 열고 국립극장 존속의 필요성을 설득하는 설명서를 작성, 총무처에 제출하고 문체부 및 관계기관에 각개전투로 '국립 지키기' 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문화계에서는 그동안 국립극장의 비효율성이 여러 번 지적된 만큼 국립창극단 등 경쟁력이 떨어지는 전통예술분야의 국가지원을 제외하고는 과감히 경영마인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국립지방박물관의 지방자치단체 이관 = 지방의 9개 국립박물관과 현충사.칠백의총 관리소 등이 지자체로 이관된다.

그러나 박물관 관련단체들의 반대가 심해 난항이 예상된다.

한국고고학회.한국박물관협회등 13개 단체는 19일 공동성명서를 내고 “문화재 정책이 지방의 경제위주의 현안사업에 밀려 위축될 것” 이라며 여건이 갖춰지지 못한 현시점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문화행정의 방향마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 닥쳐오자 문체부는 배경에 'IMF시대에 문화정책은 뒷전' 이라는 흐름이 작용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향후 문제는 누가 문화행정의 사령탑을 맞느냐이다.

이질적인 업무들을 끌어안고 있는 거대 문화관광부를 이끌어 나갈 장관의 비전과 지도력, 포용력이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기 때문이다.

곽보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