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질서와 변화는 모두 ‘세대’를 통해 이뤄졌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7면

“한국의 현대 정치는 세대의 역사다”. ▶산업화 세대 ▶4·19세대 ▶6·3세대 ▶386세대 ▶신세대 ▶88만원 세대….

현실의 역사를 가로지르는 살아 있는 이 연령군들이 어떤 식으로든 한국의 정치·사회적 변화에 개입, 혹은 매개돼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한국사회의 ‘세대론’을 통시적으로 따져보는 학술회의가 마련됐다. 산업화 30년, 민주화 20년을 결산하며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서다. 14일 오후 1시부터 6시까지 서울 안암동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한국정치사회학회(회장 임현진·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특별 심포지엄이 열린다. ‘세대의 한국사회, 이념의 한국정치’라는 주제다. 중앙일보가 공동주최하고 삼성전자가 후원한다.

이날 심포지엄은 ▶세대와 한국사회 ▶세계화 시대의 세대와 이념을 개괄한 뒤 우리 사회의 세대를 4가지로 분류해 각 세대별 이념 지향을 따진다. ▶산업화 세대와 보수주의 ▶민주화 세대와 진보주의 ▶신세대와 자유주의 ▶C세대와 개인주의로 한국 사회의 이념 스펙트럼을 세대와 연결 짓고 그 타당성을 논하는 것이다. 박길성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세대 정치가 한국사회의 질서와 변화를 읽어내는 담론으로 등장하면서 세대의 정치사회적 의미가 중요해졌다”며 “소모적인 이념논쟁을 넘어 사회변화의 패러다임이 녹아 있는 세대론을 만들어야 한다”고 세대론의 의의를 설명했다. 박 교수는 세대론이 이념적으로나 상업적으로 동원되는 현상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세대론’이 이념적으로 ‘동원’되는 성격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모든 이념을 ‘동결’하는 것도 ‘세대’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 정치, 계급 정치를 뛰어넘는 동력이 ‘세대 정치’ 속에 숨어 있다는 평가다.

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탈계급적인 집단 특징을 갖고 있는 ‘세대’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변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유용한 개념이다”고 설명했다. 계급·계층으로 환원되지 않는 사회 변화의 실질적인 동학(動學)을 포착하기 위해 정교한 세대론이 학술적으로 가다듬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