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원·한국은행, 기업외채 전면실사…규모·용도등 자료 제출받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재정경제원과 한국은행이 각 은행을 통해 기업들이 외화대출을 받아 어디에, 얼마나 썼는지 등에 대한 기업외채 현황조사를 벌이고 있다.

기업들이 외화자금을 방만하게 사용한 뒤 갚지 못해 은행의 부실화 및 외환위기를 불러일으켰다는 지적에 따라 당국이 구체적인 조사에 나선 것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은은 최근 각 은행으로부터 기업외화대출의 규모.용도.만기 등에 대한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작업에 착수했다.

한은은 또 이미 부실화됐거나 만기가 닥쳐오지만 되돌려받을 가능성이 작은 외화대출에 대해서도 그 규모와 사유를 조사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은은 국내은행이 종금사나 외국계 펀드에 돈을 빌려주면 그 기관이 다시 국내기업에 대출해주는 '외화 브리지론' 에 대한 실태도 파악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브리지론은 특정기업에 대해 여신한도를 초과해 돈을 빌려주거나 대출에 대한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해 일부 은행이 국내 종금사들과 외국 금융기관을 끼고 일으킨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기업이 직접 해외에서 빌려쓴 외채에 대해서는 국내은행을 통해 조사할 방법이 없어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실태파악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의 조사결과는 재경원 및 현재 한은에 파견돼 있는 감사원 특감반에 전달돼 외환위기의 원인규명 자료로 활용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시중은행 국제부 관계자는 "최근 한은으로부터 기업외화대출과 관련한 상세한 자료를 내라고 요청받아 제출했다" 고 말했다.

남윤호·정경민·김소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