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람들]청와대 수석 탈락자들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10일 최종심사에서 탈락한 수석후보들은 나중의 부름을 기다리게 됐다.

대개가 내각이나 정부산하 기관에서 새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점쳐진다.

김중권 당선자비서실장은 인선 발표후 “아까운 탈락자들” 이라며 “검증과정에서 하자가 없는 이상 새 정부의 중요한 일에 중용될 것” 이라고 밝혔다.

“자질이 충분히 감안돼 천거된 인사들이고 1차 심의에서도 대부분은 합격점을 받았다” 는 공식 언급이다.

아쉬움이 가장 컸던 후보는 정무수석후보로 10일 아침까지 金당선자의 선택을 망설이게 한 이강래 특보 같다.

그는 인선 발표 직후 金실장에게 전화를 걸어 그동안의 관심표명에 고마움을 표했고 金실장은 “곧 요직에 기용될 것” 이라고 위로했다.

金당선자도 “무명에 불과했던 그가 전국적 인물이 됐으니 이제는 어디든 쓸 수 있다” 고 신뢰감을 전했다.

'DJ가 필요로 하는걸 먼저 알아서 챙긴다' 는 평가를 받을 만큼 金당선자의 마음을 잘 읽는 심복이어서 계속 가까이서 보필하게 되리란 것. 주변에선 전공 (행정학박사) 을 살려 행정자치부 (현 내무부) 차관 자리가 주어질 것으로 본다.

대통령직속 기획예산처의 차관급 보직도 예상되고 있다.

다른 정무쪽 후보였던 김정길 (金正吉) 국민회의부총재는 사회분야의 입각이 점쳐진다.

“당초 수석후보가 아닌 장관대상자였다” 는 얘기도 있다.

부산출신인 그는 사회복지수석이 PK출신인 조규향 부산외대총장과 이근식 (李根植) 내무차관으로 좁혀지면서 지역안배라는 원칙 때문에 일찍 대상에서 이탈했다.

외교안보의 박용옥 (朴庸玉) 국방부차관보도 임동원 수석내정자와 막판까지 경합한 인물. 군인이면서도 영어 구사능력이 뛰어나고 미 국무.국방부에 고루 지인을 둔 미국통이라는 점에 金당선자의 마음이 끌렸다고 한다.

국방차관이나 국가안보회의 사무총장을 맡게되리란 전망이다.

경제수석후보였던 이선 (李) 경희대교수는 재경부.통산부 등 관련부처 또는 대통령직속이 될 경제자문위나 한국개발연구원 (KDI)에 자리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