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중국·러시아와 국방외교 순조…한반도 주변 4강교류 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반도 주변 4강의 군사교류가 부쩍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일본은 지난달말 아키야마 마사히로 (秋山昌廣) 방위청차관이 러시아를 방문, 세르게예프 국방장관과 회담한데 이어 3일에는 츠하오톈 (遲浩田) 중국 국방부장을 자국에 초청하는 등 방위 당국자간 교류에 열성이다.

일본의 움직임은 지난해 9월 미.일방위협력지침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유사시 자위대의 행동반경이 크게 확대되는 등 달라진 아태지역 안보환경에 대한 '굳히기' 의 의미가 크다.

중국 국방부장으로선 최초로 일본을 공식방문한 츠하오톈 부장은 4일 규마 후미오 (久間章生) 일본 방위청장관과 회담을 갖고 ▶방위청장관의 상반기중 중국 방문▶자위대 통합막료회의의장과 중국 인민해방군총참모장의 상호방문▶다음달중 육상자위대막료장의 중국 방문▶일본 방위연구소와 중국 국방대학간 교류 등 6개항에 합의했다.

한마디로 '양국 군인들이 부지런히 오가며 만나자' 는 얘기다.

츠하오톈 부장은 미.일간 새 방위협력지침이 대만의 작전지역 포함 여부를 명확히 하지 않은데 불만을 표시하기는 했지만 회담 진행에는 별 장애가 되지 않았다.

그는 오히려 방일기간중 일본 전몰자 묘역을 참배하는 우호적 제스처를 보일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일본과 러시아는 지난해 11월 정상회담에서 자위대와 러시아군이 재난에 대비한 합동훈련을 실시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일본의 의중은 아키야마 방위청차관의 2일 기자회견 발언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동북아 안보에 대해 "일본.미국.러시아.중국의 4개국이 민간 차원의 안보대화장치를 만든 다음 장차 이를 정부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말했다. 주변 4강의 군사교류 확대는 어떤 식으로든 한반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 확실하다는 점에서 한국이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도쿄 = 노재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