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동통신 시티폰 중단…15일부터 서비스 안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수도권지역 시티폰 (발신전용휴대전화) 사업자인 서울이동통신이 최근 일방적으로 오는 15일부터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선언한데 이어 나래이동통신 (수도권) 과 부일이동통신 (부산) 등 나머지 지역사업자들도 이를 뒤따를 예정이어서 이 서비스에 가입한 소비자들의 큰 피해와 불편이 예상된다.

서울이동통신 (대표 李鳳勳) 은 지난주 가입자들에게 발송한 안내문을 통해 “가입자감소와 누적적자로 회사경영이 어려워 기업 구조조정차원에서 시티폰서비스를 중단한다” 고 밝히고 가입자들에게 해지 및 보증금 반환절차를 밟아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해지를 원치 않는 가입자에 대해서는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으로 가입전환시켜 준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나래 등도 한국통신과 진행중인 장비이전협상이 마무리되는 대로 서비스를 중단할 방침이어서 지난해 3월20일 시작된 시티폰서비스는 1년이 안돼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만 남고 모두 퇴출 (退出) 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60만6천명에 달하는 시티폰가입자중 한국통신가입자 (32만5천명) 를 제외한 28만1천여명의 가입자에 대한 보호대책이 없어 항의가 잇따를 전망이다.

지역사업자들은 해지를 원치않는 가입자의 경우 한국통신으로 이전시켜줄 방침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가입비 (2만원) 와 보증금 (2만원) 반환 등 실무적인 문제가 산적,가입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이통으로부터 안내문을 받은 이경희 (39.중계4동) 씨는 “회사측이 서비스중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고 시티폰서비스를 계속 받고 싶으면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에 직접 찾아가서 가입하라고 한 것은 소비자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도 없는 부도덕한 행위” 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동안 시티폰사업에는 한국통신 1천8백억원, 지역사업자 1천5백억원 등 총 3천3백억원이 투자됐으나 개인휴대통신 (PCS) 서비스 등장 이후 가입자가 급감하면서 사업성이 불투명해졌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시티폰사업을 재검토, 경제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 고 최근 밝힌바 있다.

주무부서인 정보통신부는 아직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하지윤·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