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생활쓰레기 수거 비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대구지역 생활 쓰레기 수거에 비상이 걸렸다.

수거를 맡은 위탁업체들이 경영 애로 등을 이유로 구청과 재계약을 포기하고, 노조는 잇따라 파업을 예고한 때문이다. 더욱이 대구 전역에서 일요일 수거 휴무제가 시행되고 있으나 홍보 부족 등으로 곳곳에서 투기가 이뤄져 악취를 풍기고 있다.

서구에서 쓰레기를 수거.운반하는 D산업은 경영애로.노사문제를 이유로 7월부터 6개월간 예정된 서구청과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이 업체는 2001년부터 26명의 환경미화원과 청소차 7대로 내당1~4동.비산4동 등 8개 동에서 주민 4만2000여명이 배출하는 하루 37t의 생활쓰레기를 수거해왔다.

이 업체 미화원들은 지난 1일부터 서구청 앞에서 고용승계.생존권보장 등을 요구하며 시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구청은 구청 산하 재활용품.도로청소반 소속 차량 6대와 인력 18명을 투입해 D업체 구역에서 쓰레기를 비상 수거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청 관계자는 "사태가 장기화되면 미화원의 피로 누적 등으로 수거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서구청은 다른 업체와의 계약을 검토하고 있다.

또 대구지역 환경관리 노조에 소속된 달서구와 중구의 업체 두곳은 파업을 앞두고 있다. 노조 전임.고용안정 보장 등을 요구하며 지난 2일 노조원 97%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한데 이어 5일 대구.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 신청서를 낸 것이다.

달서.중구의 이 업체들이 파업하면 '쓰레기 대란'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달서구의 해당업체는 신당.용산.장기동 일대에서 달서구 전체 쓰레기의 40%인 하루 60t을, 중구의 업체는 서문.번개시장, 대구백화점, 한일극장 등 도심시장과 상가에서 하루 20여t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할구청은 이들 업체의 파업 여부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아울러 대구에서는 7월부터 토요일 쓰레기를 내놓지 못하는 일요일 수거 휴무제가 시행되고 있으나 시행 첫날인 3일 시내 곳곳에 쓰레기가 배출돼 악취를 풍겼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