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감정·정비 자격증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오토바이 정비업체들이 '오토바이 감정사.정비사' 자격증 논란에 휩싸였다.

교육.기계공학 전공 교수 등으로 구성된 이륜차 안전협회가 2002년 5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4차례에 걸쳐 오토바이 정비업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이륜차 감정사.정비사 등 2종의 자격증을 발급했다.

이들은 교재비 등 명목으로 1인당 20만~40만원을 받고 3시간 강의 후 시험을 실시해 자격증을 줬다. 전국에서 200여명이 이 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륜차 안전협회 측은 "중고 오토바이 매매나 정비에 필요한 지식을 전달하고 소비자의 신뢰를 얻기위해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이 같은 자격증 제도를 2년 정도 운영해 국가 공인화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이같은 자격증 발급이 과장.과대 광고가 없는 한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다른 오토바이 관련 단체들이 "정비업체들의 부담만 가중시키는 일"이라며 반발하자 지난해 8월 이후 자격증 발급을 슬그머니 중단했다.

이 때문에 자격증을 취득한 이들은 "국가공인기술자격증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믿고 땄는데 종이 조각에 지나지 않게 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모터사이클협회 김주석(광주시 북구 중흥동) 추진위원장은 "오토바이 정비업체들이 자격증을 갖지 못하면 영업에 지장이 있을 것으로 잘못 알고 무리하게 자격증을 구입한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륜차 안전협회 측은 오토바이 정비업계 발전을 위해서는 자격증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륜차 안전협회 관계자는 "오토바이 관련단체들을 하나로 통합해 사단법인으로 등록한 뒤 자격증을 다시 발급하려 했으나 단체간 이견으로 중단된 상태"라고 해명했다.

전국 규모의 오토바이협회를 꾸려 자격증 발급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오토바이 정비업체는 600여곳에 이른다.

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