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당선자의 '화합정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이제는 화합이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당선자가 화합정치를 표방하고 나섰다.

金당선자는 당선후 22일 처음으로 열린 국민회의 당무위원.지도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국민 대화합" 을 거듭 역설했다.

그는 "국난을 극복하는데 동서 (東西)가 따로 없다" "대기업에서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모두를 끌어안겠다" 고 강조했다.

또 "선거에서 저에게 표를 찍지않은 사람과 지역들을 모두 끌어안겠다" 고 덧붙였다.

金당선자측은 화합정치 선언에 따른 후속조치도 마련중이다.

우선 거론되는 게 대선공약에 이미 포함돼 있는 취임초 대사면 조치의 단행이다.

이날 이뤄진 전두환 (全斗煥).노태우 (盧泰愚) 두 전직대통령에 대한 특별사면 조치도 그 일환이다.

대사면 조치는 '우 (右 : 보수인사)에서 좌 (左 : 진보인사)' 를 모두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번에 비자금사건 연루자들이 사면된 만큼 후속조치에선 시국사범들이 대폭 포함될 것이라는 의미다.

다만 한보사건 연루자는 제외대상으로 꼽고 있다. 金당선자측은 취임초 사면조치와 별개로 경제사범들에 대한 조기 사면조치를 서두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도를 낸 중소기업가 등 부정수표단속법 등에 연루된 경제사범들에 대한 1월초 사면설이 흘러 나오고 있다.

경제사범의 사면은 경제살리기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 정치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金당선자는 23일 이회창명예총재와의 회동에 이어 이인제대통령 후보와도 조만간 만날 예정이다.

金당선자가 이처럼 화합정치를 주창하는 데는 몇가지 의미가 있다.

먼저 당면과제가 되고 있는 경제난 해소를 위해 온 힘을 쏟아야 할 필요성이다.

코 앞에 닥친 외환위기.금융위기는 내년도 경제운용이 초긴축이 될 것임을 강요하고 있다.

허리띠를 졸라매려면 국민화합이 전제되지 않고선 국정운영 자체가 삐그덕 거릴 수 있다.

소외층을 배려하는 金당선자의 정치스타일도 작용하고 있다.

그는 이날 "우리끼리 싸울 여유가 없다" 며 "세계화시대에 내부 갈등은 희망이 없다" 고 강조했다.

한 핵심측근은 "YS는 사정 (司正) 으로 집권 첫걸음을 내디뎠지만 DJ는 화합으로 시작할 것" 이라고 전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