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당선자 - 미국·IMF 관계자 대화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다음은 金당선자가 립튼 미재무차관.보스워스 주한 미대사 등과 나눈 대화요지다.

이 자리에는 미연방준비은행 (FRB) 관계자, 국민회의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장재식 (張在植) 총재특보, 자민련의 김용환 (金龍煥) 부총재 등이 배석했다.

▶金당선자 = 신정부는 IMF협약을 1백% 준수할 것이다.

IMF협정이행을 계기로 우리 경제의 체질개선을 위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

우리국민과 정치권은 정부에서 선전해온대로 세계 11번째 경제대국으로 알고 있었다.

이제 진실을 알게 되면서 국민은 충격을 받고 그동안 정부의 선전이 허상임을 보았다.

우리 경제를 강화시키는 유일한 길은 IMF협약을 이행하는 길밖에 없다는 점을 국민 모두 이해하고 있다.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고 협력이 긴요하다.

내가 기자회견을 통해 입장을 개진한 바 있고 80% 이상의 국민이 IMF와 관련한 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적 지지를 배경으로 우리 경제를 반드시 일으키겠다.

양국간 긴밀한 협조를 당부한다.

▶립튼차관 = 미국정부를 대표해 선거승리를 축하한다.

미국인들은 정권교체를 중요시한다.

정권교체는 민주주의의 강점이다.

한국에서도 이런 강점이 잘 나타나길 바란다.

나의 임무중 하나는 미국의 우정과 선의를 전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안정과 성장이 계속될 수 있도록 돕기위한 것이다.

당선자께서 IMF에 대한 전폭적 지지와 이행에 관해 언급해 주신 것을 고맙게 생각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혁적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는 것이다.

그래야 난국타개에 도움이 되고 미국이 많이 도울 수 있다.

한국경제 위기극복은 국제사회에서의 신뢰회복이 핵심인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정부가 이미 취하고 있는 조치들이 긍정적이고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어 지지한다.

한번 금간 신뢰를 다시 회복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다.

한국에서 신뢰회복을 위해 더 많은 조치가 있어야 겠다.

한국에서 개혁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볼 때 국제적 금융지원도 강화될 것이다.

한국은행 외환보유고를 보수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개방을 좀 더 해서 한국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한국정부가 팔을 벌려 누구든지 돌아오라는 개방자세를 보여야 한다.

IMF 협약에는 없는 내용이고 정치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언급하기 어려운 것이 노동시장 문제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동문제에 관해 중요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만약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 유지에 힘쓴다면 결과는 심각해질 것이다.

임금수준과 고용인력 숫자 사이에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어 둘다 성취하기는 불가능하다.

한가지의 희생은 불가피하다.

이는 멕시코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

효과적인 개혁조치를 이행한다면 2년 뒤에는 빠른 속도로 회복될 것이다.

노동시장과 관련한 정책이 필요하고 노동계도 실업과 임금문제에 관해 얼마만큼 양보하느냐가 중요하다.

새 정부가 어떻게 다뤄 나갈지 궁금하다.

▶한국측 = 노동시장과 관련해선근로자 임금억제 뿐만 아니라 약간의 삭감까지 감수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경쟁력을 높인다는 데 정부와 기업, 노동자가 동의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사태를 안이하게 보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IMF 협정을 완벽하게 지켜나갈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개방을 통해 경쟁에서 이겨나가겠다는 결심이 강하다.

립튼 차관 등 미국의 대표단이 온 것과 때를 같이해 도움을 주었으면 좋겠다.

IMF의 계획을 '한국 플랜' 으로 받아들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의지를 갖고 있다.

▶미국측 = IMF 계획이 불충분한 부분도 있다.

추가정책의 이행을 통해 추가지원이 이뤄질 때 결정적인 신뢰회복이 이뤄지리라 본다.

▶한국측 = 노.사.정 국민협약을 추진하겠다.

외환위기의 심각성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알려 3자간의 신뢰를 이루고, 이를 통한 경쟁력 회복만이 살길임을 알려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회복받기 위해 노력하겠다.

▶양측 합의사안 = 새 정부의 이양이 국민동참을 가져올 자산임에 동의했다.

기존 정부의 실패를 거울삼아 보다 개혁적인 조치를 통해 문제해결의 기회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임금삭감으로 안될 때 해고는 불가피하다.

대량실업을 최대한 피하고 임금조절을 통해 이 위기를 넘기는 데 최대한 노력할 것이다.

이것이 안될 때는 최소 범위에서 실업이 불가피하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