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관제센터장 김정완 경감 “사생활 침해 NO! 사적 목적 사용땐 경찰도 형사 처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2면

“문을 연 지 2년 가량 됐지만 그 동안 거둔 성과는 10년 이상의 것입니다. 천안·아산 80만 명 시민의 소중한 생명을 구하고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2일 만난 천안·아산 시민안전 통합관제센터 김정완 센터장(43·경감). 다음은 김 센터장과의 일문일답.

-통합관제센터의 주된 임무는.

“한 마디로 ‘범죄예방’이다. 지상의 경찰관들이 하지 못하는 역할을 이 곳에서 한다. 구석구석까지 다 볼 수 있으니 범죄는 엄두도 내지 말아야 한다. 충남지역 112 신고 가운데 천안·아산이 48%를 차지한다. 천안·아산에서 접수되는 모든 신고가 모두 이 곳으로 접수된다. 교통과 민원, 범죄신고까지 이뤄지다 보니 하루 24시간이 모자랄 지경이다.”

-다른 곳에서는 사생활 침해 논란도 있는데.

“천안시·아산시와 경찰은 정기적으로 근무자·모니터요원을 교육, CCTV 운영에 따른 사생활침해 방지를 강화했다. 자칫 시민들로부터 ‘사생활을 침해한다’는 오해의 소지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다. 사적(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 3년 이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 벌금형을 받게 된다. 임의 조작할 경우, 2년 이하 700만원 이하 벌금을 받게 된다. 자체내규도 만들어져 있다. 모니터를 통해 얻은 정보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규정을 만들었다. 홈페이지에 CCTV 설치장소도 모두 공개하고 있다. 센터를 투명하게 운영하자는 취지다. 처음엔 그런(사생활 침해) 의혹을 가졌던 시민들도 한 번 다녀가면 모두 풀고 간다. 기회가 되면 한 번 방문해 달라.”

-관람객이 많다는데.

“언론 보도 이후 지역협력 치안의 성공적인 모델로 유명해졌다. 서울과 대구, 경북 등 전국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이 계속되고 있다. 센터 개소 이후 378차례에 걸쳐 4057명이 다녀갔다. 전국적인 명소가 됐다. 특히 납치·실종 예방교육을 CCTV 생생한 화면을 통해 하다 보니 유치원부터 대학생까지 관람문의가 줄을 잇고 있다. 센터(546-9112)로 신청하면 언제든 견학할 수 있다.”

-기억에 남는 사건은.

“통합관제센터와 직접 관련이 있는 사건은 아니지만 천안의 모 백화점 앞에 소매치기가 극성을 부린 적이 있었다. 시민들이 신고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했고 백화점도 고충이 적지 않았다. 곧바로 백화점 측에 ‘CCTV 한 대만 달면 해결된다’고 조언했다. 부랴부랴 백화점 앞에 CCTV가 설치됐고 이후 소매치기 신고가 단 한 건도 접수되지 않았다. CCTV가 설치됐다는 소식을 듣고 소매치기가 모두 달아난 것이다. ”

-센터를 운영하면서 아쉬운 점은.

“반복되는 말이지만 인원이 보강됐으면 한다. 시청에서 파견한 모니터 요원이 모두 여성인데 원활한 협조를 위해서는 우리도 여경이 필요하다. 3교대로 운영되는 만큼 각 조별로 여경이 1명씩은 배치돼야 한다. 예산문제도 늘 고민이다. CCTV 1개를 운영하려면 KT에 회선료만 한 달에 10만 원 이상을 낸다. 500여 대로 보더라도 매달 5000만 원이 나가는 셈이다. 비용을 대는 두 자치단체에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신진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