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년 1월까지 부실채권 16조원어치 매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성업공사의 부실채권 정리기금이 24일부터 부실채권 매입에 나섰다.

김진표 (金振杓) 재정경제원 은행보험심의관은 "부실채권이 제대로 정리될 것인가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을 최대한 앞당겼다" 고 말했다.

한시가 급한 만큼 채권 건별로 일일이 따지지 않고, 담보유무및 회수가능성 여부만 따져 일괄적으로 사들인뒤 성업공사가 나중에 처분한 가격으로 사후정산하게 된다.

인수때 가격을 얼마로 산정하느냐가 관심사인데 ▶담보는 있으나 6개월이상 이자가 연체된 '고정' 여신은 담보가액의 75% ▶회수가 의문시되는 여신은 채권가액의 20% ▶손실로 추정되는 여신은 채권가액의 3%로 매입해 준다.

기아나 진로처럼 법정관리나 화의신청중인 기업의 경우 별도로 가격을 산정한다.

특히 이들 기업에 집중적으로 물린 종금사에 대해서는 채권가액의 50~60%는 쳐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해 은행및 종금 부실채권 32조원중 16조원어치를 내년 1월까지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일정을 내년 1월로 맞춘 것은 그때부터 종금사를 시작으로 은행 (3월) , 보험.금고 (6월) 등 금융기관에 대한 자산실사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부실채권중 절반을 정부가 해결해 준뒤 남은 자산을 따져 본격적으로 구조조정의 칼을 대겠다는 것이다.

은행권은 일단 회계상태가 개선된다.

대손충당금 (채권액의 20~1백%) 을 적립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 부실채권이 축소되면 은행 건전성을 가늠하는 국제결제은행 (BIS) 의 '위험가중자산/자기자본' 비율이 개선돼 해외에서 돈 빌리기도 쉬워진다.

기금의 앞날이 장밋빛만은 아니다.

우선 기금의 성패는 매입한 부실채권의 매각여부에 달려 있다.

기금은 사들인 토지.건물등을 용도변경및 재개발등의 방법으로 1차 가공한뒤 매입가보다 높게 팔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이제 한계선상에 서있는 기업들이 내놓을 부동산이 쏟아질 상황에서 제값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견해다.

기금 자체가 부실화하지 않기 위해 값을 낮출 경우엔 부동산가격 폭락을 촉발, 복합불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