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포럼]가슴아닌 머리로 선택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지난주 대선후보 TV토론에서도 후보검증이란 작업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절실히 느꼈다.

질문자들이 준비를 단단히 하고 토론에 임해도 후보 역시 철저한 답변준비로 무슨 질문을 해도 잘 피해 나갔다.

질문과 답변을 통해 후보를 검증한다는 것이 얼마나 지난 (至難) 한 일인가 새삼 절감했다.

사실 국민들이 꼭 알고 싶어하는 후보 개인의 여러 의혹과 약점을 단지 한두 시간의 토론으로 밝혀 내기란 불가능하다.

비자금문제만 해도 그렇다.

수십명의 조사관이 동원돼 수사권과 예산의 뒷받침을 받아 몇 개월이 걸려도 진상을 밝히기가 쉽지 않을 텐데 서너명이 둘러앉아 몇 마디 질문을 통해 어떻게 진실을 밝힐 수 있겠는가.

앞으로 TV토론을 몇 차례 더 한다 해도 이런 문제는 비슷한 추궁에 똑같은 해명이라는 다람쥐 쳇바퀴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TV토론이라 하면 먼저 이런 개인적인 약점과 의혹이 집중 조명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한마디로 그런 문제가 시청자의 감정을 가장 쉽게 사로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어느 후보에게 이런 약점, 저런 의혹이 있다는 얘기처럼 관심이 가는 문제도 없다.

또한 복잡한 판단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그런 얘기들은 곧 유권자의 감정에 직결돼 '누구는 무엇 때문에 절대 안된다' 는 식으로 비약한다.

이번 토론의 경우만 해도 신상문제를 포함한 의혹에 관한 사항은 팽팽한 긴장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경제나 사회문제등 정책분야로 이슈가 옮겨 가면 금방 분위기가 이완된다.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즉 감정적인 판단과 연결이 안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은 신문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리 선거가 폭로와 비방전에서 정책대결로 바뀌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누구나 인정하지만 신문이 후보의 정책을 다루면 관심을 갖고 그 지면을 읽는 독자가 그리 많지 않다.

사실 각 후보의 약점이나 의혹은 이제 부각될 대로 부각됐다.

비자금문제.아들병역 문제.경선불복 문제등 세 후보의 여러 약점을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세 후보 가운데 누구든 한 명을 뽑을 수밖에 없다.

후보 검증이라는 명목으로 토론하고 질문을 계속한다 해도 약점이나 의혹의 문제는 진전될 가망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이 문제는 이 정도에서 각자의 가슴에 접어 두고 새로운 방향에서 후보를 골라야 한다.

이 문제에 머물러 있는 한 우리는 소위 네거티브 캠페인의 노예가 된다.

지난 여름부터 지금까지 선거운동이라는 것이 전부 폭로와 비방이었다.

그것이 유권자의 감정을 가장 쉽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선거당사자들은 잘 알고 있다.

때문에 이제 선거 한 달을 앞두고도 지지율이 떨어질 듯하면 또다시 폭로시리즈로 나가려 한다.

감정적인 판단은 일단 명쾌해 보이나 종합적이거나 지속적일 수 없다.

후보 지지도가 우리처럼 큰 폭으로 흔들리는 이유도 감정적인 대응의 결과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감정은 접어두고 머리로 누구를 선택하는 것이 나라를 위해 최상이냐를 판단해야 한다.

비록 가슴에는 못 마땅하고 찜찜한 구석이 남아 있더라도 머리로 생각해 볼 때 옳은 결론이면 그 판단을 따라야 한다.

머리로의 판단은 후보자의 번드르한 말이나 약속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말과 약속은 언제라도 바뀔 수 있다.

대통령선거는 재치문답을 잘하는 인물을 고르는 것이 아니다.

특히 모든 후보가 좋은 것은 모두 하겠다는 풍토에서 말은 의미가 없다.

말보다는 그 사람의 지금까지 행동이 어떠했는가를 봐야 한다.

그의 행동에 신뢰성이 없으면 아무리 토론을 잘해도 빈 수레 소리에 불과하다.

머리로의 판단은 후보의 주변을 보는 것이다.

친구를 보면 사람을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듯이 후보 주변인물이 과연 나라를 안심하고 맡길 정도인가를 판단해야 한다.

주변인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인물이냐를 보는게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각 후보에 대해 '예측이 가능한 정치를 펼칠 것인가' 하는 질문을 스스로 던져 보는 것이다.

자신의 머리 속에 특정후보가 당선됐을 때 대개 어떤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는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

도대체 집권후 어떻게 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그 후보는 고르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이제 모두 가슴은 덮고 냉철하게 머리로만 판단하자.

문창극 논설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