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명암]5. PC통신 '언어폭력' 위험수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지난 여름부터 집에서 PC통신을 시작한 주부 文모 (33.서울송파구방이동) 씨는 최근 채팅방에 문을 두드렸다가 적잖은 수모를 당했다.

다짜고짜 "웬 아줌마" 냐는 시비에다 "애는 재웠어요" "남편이 집에 없나 보군요" 등 비아냥거림에 어처구니가 없었다.

뉴스.증권정보.홈 쇼핑.전자우편.동호회 등 처음 접한 가상공간의 세계에 황홀함을 느낀 그녀가 이곳저곳을 기웃거리다 10대 청소년들의 대화방에 잘못 들어간 것이다.

하지만 '대화의 광장' 이라는 프라자 코너는 아예 '충격' 이었다.

"야, 이 멍청한 깡통아" "참 잘도 뒈졌다" "XX는 걸레보다 못한 놈" "이 창녀 같은 것들아" …. 온갖 비방과 욕설이 판치는 현장을 보고 文씨는 PC통신에서 손을 떼고 말았다.

얼마전에는 PC통신을 즐기던 한 여중생이 "너는 걸레" 라는 말에 충격을 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PC통신이 정보화사회의 새로운 의사소통 수단 및 문화공간으로 각광받지만 그 화려함 뒤에는 언어폭력이라는 음침한 곰팡이가 슬고 있다.

현재 국내 PC통신 가입자는 유료 3백만명, 무료 2백만명 등 5백만명. 인구의 12% 이상이 PC통신을 생활의 한 부분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일부 이용자들이 이 공간을 오염시키고 있다.

반 (半) 익명성 때문에 맘 놓고 떠드는 일그러진 소 영웅심리가 횡행한 탓이다.

지난 9월말까지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적발한 PC통신 불건전 이용건수는 모두 5천1백51건. 이중 욕설이 전체의 54.6% (2천8백12건) 를 차지, 단연 1위로 꼽혔다.

하루 평균 10건씩 욕설이 난무한 셈이다.

때문에 1백39명이 이용을 정지당했고 7백41명은 경고를 받았다.

여성들은 언어폭력에서 도피하기 위해 여성 전용방을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뿌리뽑을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게 문제다.

PC통신사는 모니터 요원을 두고 표현이 지나친 글을 수시로 삭제하지만 끝이 없다.

그렇다고 법적으로 제재를 가하기도 쉽지 않다.

심지어 문제를 일으킨 가상공간의 불순한 논객 (?) 이 스타가 되는 경우마저 있다.

이 때문에 천리안.하이텔.유니텔.나우누리 등에는 바른통신을 위한 모임이 결성돼 이용자들 스스로가 욕설 추방에 나섰다.

여기에 가정과 학교에서 네티즌들, 특히 청소년들에 대한 윤리교육이 덧붙여진다면 가상공간은 '말의 향연'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김종윤 기자

◇ 도움말 = ▶이영규 (李永圭.50.정보통신윤리위원회 사무국장) ▶김옥순 (金玉順.42.청소년문화연구소 실장) ▶이규남 (李圭南.37.삼성SDS유니텔 고객지원팀장) ▶이상규 (李相珪.35.한국통신 사설게시판 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