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C마케팅 "전화로 부동산 분양대행" 잇단 거래 성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전화를 통한 텔리마케팅 영역이 부동산에까지 확대되는 것인가.

텔레마케팅을 통한 수천만원대의 부동산 매매가 늘고 있어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텔레마케팅전문회사인 ㈜IMC마케팅 (대표 김남국) 은 올들어 금호건설의 광주 (光州) 오피스텔 (61세대) 과 동대문 예복상가인 에쏘르 (1백5개 상가) 를 잇따라 대행 분양했다.

이 회사는 지난 95년 우정건설의 포천 아파트단지 (5백52세대) 의 분양을 대행한 적이 있다.

국내 텔레마케팅의 효시격인 이 곳은 91년 설립이후 특급호텔이나 신용카드사등의 고객관리.전화판촉을 대행하거나 직원교육을 담당해오다 부동산 쪽으로 영역을 확대한 것. 방법은 전문 텔레마케터들이 전화로 고객과 접촉, 설명한 후 상담에 응하면 직접 만나 최종 결정및 계약을 하도록 하고 있다.

IMC 관계자는 "지금도 3~4건의 대행의뢰가 들어와 있다" 면서 "앞으로 부동산 분야 활동을 확대해나가도록 하겠다" 고 말했다.

일부 대형부동산업소에서도 비슷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지만, "IMC는 수십명의 전문요원과 약 1백만명에 달하는 고객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판촉을 하고 있다" 는 것이 金사장의 설명. 우정건설 관계자는 "1억원을 들여 광고를 했지만 분양률이 미미해 이 회사에 의뢰했는데, 약 3개월만에 거의 분양을 마쳤다" 고 설명했다.

IMC측은 우정아파트 분양때 10여명의 텔레마케터를 동원, 총2만5천건의 전화를 걸어 2천7백71명과 상담에 성공, 이중 9백49명에게서 방문설명 약속을 받아냈다는 것. 대행 수수료는 전화료등 경비외에 아파트는 총금액의 1.5~5%, 상가와 각종 회원권은 5~10%수준. 최근에는 H.Y사등 몇몇 다른 텔레마켓팅회사들도 부동산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문제 지적도 있다.

개인 신용정보 유출 부작용에 대한 지적도 있고, 또 분양된 부동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책임소재가 명확치 않은 문제가 있다.

IMC 관계자는 "과장 홍보등으로 문제가 생기면 회사가 보상을 하지만 시행자 잘못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고 설명했다.

한 관련분야 전문가는 "텔레마케팅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제도의 정비도 필요하다" 고 말했다.

이효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