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총재 비자금정국 긴급 여론조사…가상 대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2월 대선의 가상대결 조사에서는 이회창 (李會昌) 신한국당후보와 이인제 (李仁濟) 전경기지사, 또는 여기에 조순 (趙淳) 민주당후보까지 가세한 연대로 범여권세력을 하나로 결집시키지 않는한 현재로서는 김대중 (金大中) 국민회의후보를 꺾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회창후보는 어떤 가상대결 구도에서도 20~21%대의 똑같은 지지율만 보여 전통적인 여권고정표 이상의 +α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대중후보의 승리가 가장 확실한 경우는 DJP연합이 이뤄지고 여타 후보들이 개별 출마할 경우다.

이 경우 김대중후보의 지지율 38.5%는 이미 지난 92년 대선에서 그가 얻은 최종득표 33.8%를 뛰어넘는 수치다.

고정표+α에 성공한 셈이다.

이 경우 金후보는 서울.경기.충청.전남북에서 수위를 한다.

李전지사는 부산.대구.강원.경남북에서 1등에 올라서지만 金후보의 '시멘트표' 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 (力不足) 인 상황. DJP단일화의 경우 자민련 지지자들은 김대중 (39.8%).이인제 (26.0%).이회창 (15.7%) 으로 표가 분산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흥미있는 구도는 DJP연합이 불발로 끝나고 대신 趙후보가 출마를 포기하며 李전지사를 밀어주는 4자대결의 경우다.

35.2%의 김대중후보를 이인제.조순연합의 이인제 (31.4%) 전지사가 3.8% 차이로 맹추격하는 양상이 벌어진다.

이 경우 20~30대에서 김대중후보 지지표가 李전지사 쪽으로 적잖은 표이탈이 일어나고 40대는 오히려 김대중후보보다 李전지사를 수위 (34.1%) 로 지지하는 '반란' 이 일어난다.

지역별로는 李전지사가 충청에서 김대중후보로부터 수위 (33.4%) 를 탈환하고 경남 (44.9%).경북 (44.0%)에서는 관망세이던 '영남표' 를 응집시키는 현상을 낳는 때문이다.

신한국당 지지자들도 이 경우 5분의1인 19.1%가 李전지사를 찍겠다고 응답해 표 이탈을 부채질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런 가상구도라면 김대중 - 이인제후보의 양자대결 구도도 가능한 상황이지만 실제 김종필 (金鍾泌) 자민련후보가 끝까지 출마를 강행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점을 한계로 지적하고 있다.

이인제 - 조순연대가 성사돼도 DJP단일화가 이뤄져 3파전 구도로 갈 경우 李전지사의 뒤집기가 쉽지 않은 양상이다.

이 경우 수치상으로는 6.2% 차이지만 실제 표로는 1백20만표를 상회해 막판 역전이 쉽지 않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