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평가]10.산업디자인학과…평가방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산업디자인학과 평가는 27개교 30개 학과 (홍익.국민.울산대의 경우 산업디자인학과와 시각디자인학과를 별개로 간주) 를 대상으로 교수.학생.졸업생 진출.교육여건.재정및 시설.평판도등 6개 부문 28개 지표를 가중치없이 분석했다.

이어 상위 15위 학과를 선정, 현장실사한뒤 지표별로 가중치를 부여해 종합순위를 냈다.

교수 부문의 평가 지표 (이하 괄호안은 1백점 기준 가중치) 는 ▶단행본 (6) ▶논문 (6) ▶전시 (6) ▶수상 (1) 및 사회봉사 (2) ▶연구.용역비및 연구건수 (6) 이다.

교육여건 부문은 ▶전임교수 1인당 학생수 (3) ▶조교 1인당 학생수 (2) ▶전임교수 1인당 주당 수업시간수 (3) ▶학생 1인당 장학금액 (2) 및 장학생 수혜율 (2) 을 분석했다.

재정및 시설 부문은 ▶학생 1인당 교육비 (3) ▶도서구입비 (3) 및 구독학술지 (2) ▶4년간 기자재 구입비 (3) ▶컴퓨터 1대당 학생수 (1) ▶학생 1인당 실습실기실 면적 (3) 을 지표로 삼았다.

학생및 교육활동 부문은 ▶재학생 공모전 참여 (4) ▶최근 3년간 졸업생의 디자인계 취업율 (2) ▶산학협동및 인턴쉽 참여 건수 (4) ▶특강및 세미나 개최 실적 (2) ▶해외학술 교류및 체결 실적 (3) 을 평가했다.

졸업생 사회진출 부문은 ▶배출 교수수 (2) ▶현대.삼성.엘지.대우등 전자및 자동차회사를 포함한 대기업 디자인 부서와 국내 매출액 상위 15위권의 광고회사및 공인 디자인전문회사 1백곳에 종사하는 디자이너수 (5) 를 출신대학별로 분석했다. 평판도는 산업디자인계 대학교수 98명을 대상으로 ▶교수진 (4) ▶학생 수준 (4) ▶교육 프로그램 (3)에 대해, 대기업 디자인 부서장및 연구소장, 디자인전문회사대표등 전문가 1백33명를 대상으로 졸업생들의 ▶실무능력 (4) ▶인성 (3)에 대해 각각 설문조사했다.

실사 (6) 는 디자인 전문가 2명이 산업디자인학과의 기자재 보유와 관리 상태, 실습환경의 안전성과 쾌적성등을 관찰해 4등급으로 나눠 평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