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북핵 협상엔 외적 여건도 중요 … 국민적 의사 결집 노력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위성락(사진) 신임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6자회담뿐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의 역량이 적절히 동원되고 집중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민적 의사결집(컨센서스)과 초당적 대처 등 협상 외적인 여건을 갖추는 측면에도 노력하겠다”고 3일 밝혔다. 국가정보원 1차장으로 옮긴 김숙 전 본부장의 후임으로 6자회담 수석대표를 겸하게 된 위 본부장은 스티븐 보즈워스 미 대북 특사(9일)와 러시아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알렉세이 보로다브킨 외무차관(12일)을 각각 서울에서 만나는 것을 시작으로 본격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6자회담이 정체되고 있다.

“비핵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북한이 이미 핵실험을 했다는 사실이다. 핵실험 전(Before Test)과 후(After Test)는 큰 차이가 있다. 나는 개인적으로 지금은 ‘AT(After Test) 4년’이란 표현을 쓴다. 하지만 아직은 협상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고 본다.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는 의지를 갖는 게 중요하다.”

-미국이 고위급 대북 특사로 보스워스 전 주한대사를 임명하면서 6자회담 위상이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반드시 그렇게 볼 필요는 없다. 예전에도 북·미 양자 협의에서의 성과물이 6자회담을 추동한 사례들이 있다. 보즈워스 특사의 활동도 긍정적이라 본다.”

-6자회담에서 한국이 한때는 북·미 간 중재 역할을 했는데 그런 역할이 약화된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진정한 비핵화가 가능하다면 어떤 입장이든 취할 용의가 있고 북·미 간 중간적 입장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과거엔 어떠했고 지금은 어떠하다는 평가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회담장에 가면 6개국이 다 똑같은 입장이 아니다. 크게 보면 최근의 6자회담에서도 한국이 (과거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 본다.”

-북한 미사일도 6자회담에서 다루나.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 다만 미사일 문제도 다뤄야 한다는 공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른 나라 회담 대표들과의 인연은.

“성 김 미국 대표는 주미 대사관 공사 시절에 국무부 한국과장이어서 잘 안다. 사이키 아키타카 일본 대표도 같은 시기에 주미 공사를 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1차 6자회담부터 3차 회담까지 참가하는 동안 여러 차례 만난 적이 있다.”

위 본부장은 제2차 북핵 위기가 터진 2003년 이후 외교부 북미국장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관, 주미대사관 정무공사 등을 거치면서 북핵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다. ▶전북 전주(55) ▶서울대 외교학과 ▶외무고시 13회.

예영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