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항공기 추락사고]"킬링필드 인술 이어야…" 원광大 의대팀 다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김봉석 (金奉奭.36) 회장과 이성민 (李成民.31) 회원은 히포크라테스 정신을 끝까지 실천해 동료.후배들의 가슴에 인술의 참뜻을 심어주고 갔습니다.

우리들은 고인들의 숭고한 뜻을 이어 무의촌의 땅, 캄보디아에서 의료봉사활동을 계속할 것입니다. "

베트남 항공기 추락사고로 뜻하지 않은 참변을 당한 원광대 의대동창회 金회장과 함께 의료봉사활동을 해온 최두영 (崔斗榮.36.원광대병원 소아과) 씨는 끝내 울먹였다.

내전으로 의사들이 처형당하는등 의료 부재로 어린이들이 하루에도 수십명씩 죽어가나 손을 쓸 수 없다는 말을 전해들은 金회장등은 내전의 불씨가 남아 있음에도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기꺼이 의료봉사 활동을 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난해 11월 동창회원 10여명이 캄보디아에 의료봉사 갔을 때 동행했던 崔씨는 "의료시설이 우리의 60년대 수준이었으며 살릴 수 있는 아이들도 의료기기.약품이 없어 손을 못쓰고 죽어 나가고 있었다" 고 말했다.

부상당한 어린이 2백여명이 수용돼 있는 고아원에는 눈이 없고 손.발이 잘려나간 채 몸에는 온갖 피부병이 번져 고통을 받고 있었다.

이런 상황을 본 金회장과 崔씨등은 곧바로 진료를 시작, 총성이 곳곳에서 울리는 가운데 꼬박 3일간 밤을 새웠다.

崔씨는 "동료들이 지쳐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였으나 金회장은 의사의 사명을 다해야 한다는 신념 하나로 피로도 내색하지 않은 채 수백명의 어린이를 진료, 귀국길에 몸살을 앓기도 했다" 고 회고했다.

"봉사일정이 끝나고 귀국하는 날 어린이들이 아픔을 호소하며 가지 말라고 애원, 말은 통하지 않았지만 참 인술의 언어가 통해 그들의 아픔을 느꼈으며 결국 金회장은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며 崔씨는 안타까워했다.

金회장등은 귀국 즉시 제약회사등을 찾아다니며 피부병 치료제등 약품을 구해 캄보디아로 보내기도 했다.

익산 = 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