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표기 지킨 한인들, 국회가 감사패 줬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회에 독도영토수호대책특위(위원장 원유철)란 게 있다. 독도와 관련된 법안 마련이나 독도 영유권 문제 등에 관한 일을 다룬다. 여야 의원 17명이 참여하고 있다. 특위는 독도 문제가 불거질 때가 아니면 그다지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편이 아니다. 하지만 의원들은 조용한 가운데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다.

지난해 미 의회도서관이 독도 관련 자료의 분류어를 ‘리앙쿠르 암석’으로 바꾸려 했던 걸 한인들이 지켜낸 적이 있다. 특위 의원들은 지난해 11월 미국을 방문해 독도 지킴이 역할을 한 인사들에게 감사패를 줬다. 대상은 김하나 북미 동아시아도서관협의회(CEAL) 한국분과위원회 회장, 김영기 조지워싱턴대 동아시아어문학과장, 권동환 전 미 의회도서관 수석문헌관리관 등 3명이다. 독도란 지명이 리앙쿠르 암석으로 바뀔 뻔한 걸 막아낸 주역들이다. <본지 2008년 7월 17일자 12면>

원유철 위원장이 국회 긴급 현안질의 때 “정부 차원에서 감사의 뜻을 전하자”고 한승수 총리에게 요청했으나 정부는 침묵했다. 결국 특위 소속 의원들이 직접 감사패를 만들어 이들에게 전달했다. 캐나다에 사는 김 회장에겐 우편 행낭을 이용했다. 재미 동포들의 독도 사랑은 이내 잊혀졌다. 하지만 특위에선 현재 감사패 9개를 추가로 만들고 있다. 김하나 회장으로부터 “한국분과위원회 임원 9명 모두가 고생해서 한 일”이라는 e-메일을 받고, 지난해에 감사패를 받지 못한 임원 9명 전원에게 추가로 감사패를 보내기로 한 것이다.

원 위원장은 26일 “일본과의 외교 분쟁을 의식해 정부가 직접 나서지 않은 걸로 안다”며 “국회 차원에서라도 고마움을 표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선승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