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블로거 숫자는 1억6200만 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국의 네티즌 숫자는 몇 명일까?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지난 1월12일 발표한 ‘제23차 중국인터넷 발전상황통계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으로 중국 네티즌은 2억9800만 명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보급률 22.6%로 전세계 평균 인터넷 보급률 21.9%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이미 지난 해 6월 미국의 네티즌 수를 넘어서 세계 최대 인터넷 국가가 된 이래 증가세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는 중국 블로거 숫자가 1억6200만 명이라고 처음 조사됐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는 1997년 10월 중국 네티즌이 60만 명이던 시절부터 1월과 7월 일년에 두 차례씩 정기적으로 중국 인터넷 시장 현황을 조사 발표하고 있다. 전국 6만6000명의 표본을 추출해 조사한다. 아래는 이번 발표문의 요지다.

----------------------
-2008년12월31일 중국 네티즌 규모는 2억9800만 . 보급률 22.6%로 전세계 평균 수준 넘어섬. 네티즌 규모는 2007년 대비 8800만 명 증가. 연평균 증가율 41.9%. 중국 네티즌 규모의 빠른 증가 추세는 지속되고 있다.

-인터넷 보급률 톱10 성시
北京(60%)→上海(59.7%)→廣東→天津→浙江→福建→江蘇→新疆→遼寧→海南

-인터넷 보급 증가율 톱10
靑海(117.4%)→貴州(93.4%)→雲南→河北→新疆→天津→重慶→寧夏→福建→山東

-초고속 인터넷 사용 네티즌 2억7000만 명으로 전체 네티즌의 90.6% 차지한다.

-휴대전화 인터넷 사용자 규모 1억1760만 명. 2007년 대비 133% 증가했다.

-농촌 네티즌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8460만 명으로 2007년 대비 60.8% 증가했다. 도시 증가율 35.6%에 비해 급증 추세다.

-서부지역 네티즌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르다. 증가율 52%로 중부 지역 40.6%, 동부 39.3%을 추월한다.

-중국 인터넷 기초 자원도 신속히 성장하고 있지만 불균형 성장 모습을 보인다. IPv4 형식의 인터넷 주소 증가 속도는 네티즌 증가속도보다 2년 연속 뒤쳐졌다. IPv4주소의 증가속도는 중국 네티즌 증가 속도보다 지속적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장래 중국 인터넷 발전의 장애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CN 도메인의 웹사이트 증가 속도는 도메인 전체, 웹사이트 전체 증가 속도를 초과하여 중국 인터넷 자원 증가의 중요 역량이 됐다.

-2008년 한 해 동안 중국의 인터넷 뉴스의 이용자가 급속히 늘어났다. 인터넷 뉴스의 사용률은 2007년 73.6% 대비 78.5%로 늘었다. 숫자로 7900만 명이 늘어 인터넷 뉴스 이용자는 2억3400만 명으로 집계됐다. 인터넷이 홀시할 수 없는 여론 선전 진지가 된 것이다.

-이용자 생산 콘텐트(UCC)와 블로거의 등장 이래 줄곧 급속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2008년 말 기준으로 중국의 블로거는 1억6200만 명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게임은 인터넷 사용 분야 순위에서 음악→뉴스→메신저→검색→동영상에 이어 6위를 차지했다. 중고등학생 사용자 층에서는 음악→메신저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온라인 게임은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접속의 주요 동기다.

-인터넷 이용 분야, 사용 시간, 소요 비용에 따라 네티즌들을 3대 분류층, 7대 군체로 나눌 수 있다.

▶헤비유저층:네티즌 전체 평균 수준 이상의 이용자 층

▷인터넷 중독 그룹: 네티즌 전체의 약 11%를 차지. 인터넷의 가장 충실한 이용자

▷인터넷 비즈니스 그룹: 전체 네티즌 6.7%. 네티즌 가운데 가장 적은 군체. 이들과 인터넷 중독군과 비교적 가깝다. 단 이들의 인터넷 이용시간과 이용 분야는 중독군에 비해 낮다. 가장 큰 구별은 토론사이트에 참여하지 않는 다는 점이다. 동시에 이들은 인터넷 쇼핑과 온라인 주식거래, 여행 예약을 활발히 하며 검색, 메신저, 이메일 등의 활용에 강하다.

▷인터넷 커뮤니티 그룹: 전체 네티즌의 12.3%. 이들은 인터넷 커뮤니티 관련 분야에서 다른 네티즌들에 비해 높은 참여율을 보인다. 이들은 메신저, 블로그, 토론방, 게시판, 커뮤니티 사이트 등의 사용도가 높다.

▶중간이용자층:중간층의 인터넷 사용 분야와 시간은 네티즌 전체 평균 수준에 가깝다. 사용 분야를 보면 라이트유저층에서 헤비유저층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보여준다.

▷기초응용 그룹: 네티즌 전체에서 21.5%를 차지해 가장 규모가 큰 군체. 이들은 검색, 이메일, 메신저 등 인터넷 기초 기능을 사용하는 비율은 전체 평균보다 높지만 나머지 기능 사용률은 낮은 특징을 보인다.

▶라이트유저층: 이들의 인터넷 사용 분야와 시간 모두 평균 수준 이하이며, 인터넷을 접촉한지 얼마 되지 않은 계층이다.

▷자기과시 그룹: 네티즌 전체의 12.6%를 차지한다. 이들은 모두 블로그를 갖고 있다. 나머지 분야 사용률은 낮으며 매주 12.27시간 인터넷에 접속한다.

▷비주류 인터넷 게임 그룹: 100% 게임을 위해 인터넷에 접속한다. 전체 네티즌의 18%를 차지한다. 게임 이외의 인터넷 사용 지표는 전체적으로 낮다.

▷인터넷 겉핥기 그룹: 이들은 네티즌의 18.2%를 차지한다. 두 번째로 큰 그룹이다. 접속시간이 가장 적고 이용 분야도 적다. 단 이들은 나이가 가장 많은 그룹으로 평균 연령이 32살이다. 이 그룹의 존재는 인터넷 이용자의 연령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