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억날린 주먹구구 행정…서울 버스안내시스템 중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서울시가 시민들이 내는 버스요금의 일부를 투자해 올초부터 버스안내시스템을 시범운영해오다 버스개혁종합대책 수립과정에서 돌연 8월말부터 이를 운행중단키로 해 무계획적이고 일관성 없는 행정을 펴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더구나 버스안내시스템은 시가 지난 5월26일 버스요금 인상때 시 인상액중 일부인 18억여원등 총 40억여원을 투자해 만든 것으로 시의 갑작스런 시책 변경으로 40억원짜리 첨단기계가 무용지물의 고철이 돼버리게 됐다.

시는 올들어 종로1가~동대문까지 6㎞구간에 걸쳐 버스의 도착시간을 안내해주는 버스도착 안내시스템을 시범운영해 왔으나 최근 버스개혁종합대책을 수립하면서 이를 2000년 이후에 운영하기로 확정 발표했다.

최첨단의 컴퓨터로 운영되는 버스안내시스템은 서울시버스사업조합이 18억2천만원을, 안내시스템을 운영해온 ㈜인포뱅크사가 총22억원을 투자해 설치했다.

이중 버스사업조합이 낸 18억여원은 지난 버스요금 인상때 안내시스템 설치.운영비로 버스요금 4백30원중 1.9원이 반영돼 투자된 것이다.

특히 시는 올초부터 버스안내시스템 운영을 대대적으로 홍보해왔으며 지난달 만든 '서울의 교통' 이란 책자에서도 안내시스템을 확대실시한다고 홍보하고 있어 시의 주먹구구식 행정이 시민을 우롱한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버스안내시스템은 전임자가 추진해오던 시책으로 이를 전구간에 확대키로 확정한 것은 아니었다" 며 "버스가 정시에 도착하지 못하는 현재 실정에서 실효성이 의문시돼 이를 중단키로 했다" 고 밝혔다.

시의 확대운영 계획을 믿고 버스안내시스템을 운영해온 인포뱅크 서영석 상무는 "시가 벤처기업을 육성한다면서 실제로는 중소기업 죽이기를 하고 있다" 며 책임없는 시 행정을 비판했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