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金회장 왜 사표 거부하나] '그룹해체' 위기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공증이 첨부된 사표까지 요구하고 나선 채권단의 강공에 기아가 어떤 대응을 할지 주목거리다.

더구나 시한부 최후통첩이라는 점에서 기아의 시간벌기도 더이상은 불가능한 상태다.

그러나 현재로선 기아도 전혀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 28일 '각서' 라는 제목의 사실상 경영권 포기각서를 김선홍 (金善弘) 회장등 기아자동차 등기이사 21명의 연명으로 주거래은행에 제출한 것으로 충분하다는 주장을 거듭 확인하고 있다.

金회장이 지금 당장 물러날 수 없다고 버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기아측의 설명은 ▶최대주주인 포드가 金회장에게 경영권을 위임했고 ▶인도네시아등 해외 11개국에 벌여놓은 해외프로젝트 추진과 관련해 金회장과 해당국 국가원수간의 약속이 있으며▶아시아자동차 광주공장 부지매각을 위해 金회장과 광주시가 직접 협상해야할 부분이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아측이 경영진의 즉각 퇴진을 거부하는 본질적인 이유는 金회장이 퇴진할 경우 기아가 구심점을 잃게 되고 결국 채권단에 의해 제3자 인수가 추진되면서 그룹이 해체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의구심이다.

즉 현 경영진의 즉각 퇴진이라는 채권단의 요구를 기아 매각을 위한 수순으로 해석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의 분위기 쇄신으로 어느 정도 회생의 자신감을 되찾고 있다는 점도 버티기작전에 한몫을 하고 있다.

지난달 실시한 자동차 할인특판으로 3천5백억원 가량의 현금을 다음달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됐고, 수출과 내수 판매에 따른 할부원금도 매달 6천억원 가량씩 들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기아자동차 노조가 벌이고 있는 1천억원 모금운동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최근에는 노조가 사모사채 신청금 2백2억원, 차량 할부금 일시납부금 2백66억원등 4백74억원을 모아 회사에 전달했다.

그러나 채권단이 이러한 점등을 다 알고 있으면서도 당초의 강공을 전혀 늦출 생각을 않고 있는 점이 문제다.

기본적으로 양쪽의 시각이 다르다.

채권단의 시각은 金회장 체제에 대한 강한 불신이 깔려있을 뿐 아니라 노조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다짐을 받아내기 전에는 회사갱생이 불가능하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노조문제가 경영권고수 문제와 맞물려 있다는 것이 채권단의 판단이다.

경영진의 퇴진여부 자체가 노조의 이해관계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경영진의 퇴진이 기정사실화될 경우 현 기아노조의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약화되는 것은 시간문제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감원에 대한 노조의 동의서를 무리하게 요구할 경우 화합을 해칠 우려가 있고, 따라서 억지로 동의서를 요구할 힘도 뜻도 없다" 는 기아경영진의 입장 표명이 이같은 상황을 잘 설명해주고 있는 것이다.

유권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