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매출예측모델 '베이시스'개발 린린 박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신제품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제품개발 자체 못지않게 철저한 시장조사가 선행돼야 하는데 한국 기업들은 이 부분에 다소 소홀한 것 같습니다. " 최근 한국을 방문한 대만 출신의 세계적인 석학 린린 (林英祥) 박사는 "많은 기업들이 무모한 신제품 개발로 막대한 투자비를 낭비하고 있다" 면서 "사전에 철저한 시장조사를 거쳐야만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고 강조했다.

린린박사는 신제품의 판매량을 미리 점쳐주는 '베이시스' (Bases) 모델의 개발자. 이 모델은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과 기업의 광고.유통.판촉등 마케팅계획을 15개 항목에 걸쳐 조사한뒤 판매량을 예측하는 일종의 마케팅 시뮬레이션 조사기법. 매출실적 예측은 물론 제품의 컨셉.출시시점.광고시점.광고전략에까지 활용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린린박사는 "한국에서 베이시스 모델의 독점사용권을 갖고 있는 한국닐슨을 통해 상품 성공률 추이를 조사한 결과 신제품 성공률은 11%수준에 불과했다" 고 말했다.

<본지 7월15일자 27면 참조> 세계 최대 마케팅리서치기관인 미국 AC닐슨을 통해 지난 70년대부터 세계 2백여개 대기업에서 출시한 신제품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성공률이 35%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한국에서의 성공률이 훨씬 낮다는 것. 린린 박사는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한국 기업들이 사전 시장조사를 소홀히 한채 신제품개발 자체에만 열을 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지적했다.

이종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