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선 TV토론 개선책 촉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선후보 TV토론에 문제점이 많다는 여론이 확산되자 여야 3당은 다양한 개선책 마련을 촉구하는 한편 제도변화에 따른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신한국당의 30일 당직자회의에서는 "TV토론회가 너무 경직됐고 활성화하지 못했다" 는게 중론이었다고 이윤성 (李允盛) 대변인은 전했다.

당직자회의에서는 "각 방송사가 향후 진전된 토론방식을 계획하고 있고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합동TV토론 요구도 있다" 는 동향보고가 있었고 참석자들은 "TV토론의 변화에 따른 충분한 대비가 있어야 한다" 고 결론지었다.

이에따라 김중위 (金重緯) 정책위의장은 향후 TV토론에서 각당 후보의 방송비교분석표를 작성, 토론참고및 대선공약 자료로 활용하고 당차원에서 이회창후보의 TV토론 차별화전략을 수립키로 했다.

그러나 신한국당은 선관위가 합동토론회를 일종의 사전선거운동으로 간주, 법정선거운동 개시 이후에나 가능토록 한 유권해석을 들어 현시점의 합동토론에는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국민회의.자민련은 합동토론을 요구하고 있지만 양당의 촉구강도는 다소 다르다.

김종필후보의 '말솜씨' 를 믿는 자민련은 합동토론에 가장 적극적. 金후보 자신도 이날 "방송3사는 여당후보에겐 해명기회만 부여하고 정책등을 검증하는데는 부족했다" 며 "세후보를 동시 비교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 고 역설했다.

후보별 초청은 균형시비를 낳을 소지가 있다는 얘기다.

안택수 (安澤秀) 대변인은 방송사별로 전문영역을 분담한 차별화 토론도 이날 제안했다.

국민회의는 원칙적으로 합동토론 개최를 요구하지만 '야권후보 단일화' 에 장애가 있을 수 있다는 정치적 판단 때문에 썩 반기는 기색은 아니다.

김대중후보와 JP와의 정책.이념적 차이가 부각되고 논박이 생길 경우 후보단일화가 더 어려워진다는 속내 때문이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