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용담댐 건설 난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전북지역 최대 숙원사업인 용담댐 건설이 난항을 겪고 있다.

수몰지역 주민들은 당국의 보상대책에 불만을 품고 한달 넘게 집단농성을 벌이고 일부 공직자를 포함한 위장농민들이 보상금을 노리고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 집단농성 = 용담댐 수몰민 대책위원장 임종구 (林鍾求.40) 씨등 수몰예정지인 용담면, 진안읍등 6개 읍.면 주민 8백여명은 보상금 현실화를 요구하며 지난달 13일부터 40여일째 농성을 벌이고 있다.

주민들은 "가구당 평균 8천여만원의 보상비로는 다른 지역에 정착하기도 어렵다.

보상금이 대지는 평당 20만원, 건물은 평당 2백만원은 돼야 한다" 고 주장했다.

전북완주군봉동읍 일대 3만여평의 부지에 2백86가구 규모의 이주단지를 내년 6월까지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일부 지주들의 반발로 부지매입조차 끝내지 못한 상태다.

◇ 보상금 노린 위장농민 = 서울에 거주하는 李모 (57) 씨는 올해초 상전면에 잡종지 2만여평을 사들인 뒤 모자라는 국화모를 제주도까지 가서 구입해 국화밭을 조성했다.

공무원 金모 (42) 씨도 주천면 자신의 밭 2천여평에 올해초 국화를 심었다.

이같은 위장농민들로 인해 1년전만해도 벼농사가 주류를 이뤘던 진안군정천.상전면 일대에는 논밭이 국화밭등으로 둔갑해 버렸다.

주민 金모 (56.전북진안군정천면) 씨는 "외지 투기꾼들이 평당 3만5천~5만원에 논밭을 임대, 보상가가 평당 7만3천원인 국화를 수천평에 심어놓고 보상금을 기다리고 있다" 고 말했다.

◇ 주민요구및 정부입장 = 수몰예정지 주민의 농성사태는 현실성 없는 보상금과 일관성 없는 영농보상행정에서 비롯됐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용담댐 수몰지의 보상비는 평당 대지는 7만~8만원, 건물은 70만~80만원에 불과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해 집을 지을 때 평당 건축비가 2백만원이상 든다는 점을 감안할 때 턱없이 부족한 것이라고 영세농민들은 주장하고 있다.

한편 건설교통부는 지난 6월말 "국화밭은 일시적 영농이기 때문에 보상하기 어렵다" 며 보상불가 방침을 정했다.

건교부가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은 모든 국화밭에 대해 보상해줄 경우 보상비만 6천3백억원으로 자체 공사비의 3배에 이르러 사업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기 때문이다.

진안 = 장혜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