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 추가 자금지원 망설이는 금융기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기아그룹을 살리자는데는 이견이 없지만 추가자금 지원은 어렵다.

" 정부와 은행감독원이 나서 기아그룹에 대한 자금지원을 독려하고 있지만 해당 금융기관들은 여전히 망설이고 있다.

은행들의 가장 큰 걱정은 자칫 밑빠진 독에 물붓기 식이 되지 않겠느냐는 것. 한 시중은행 임원은 "당장 대출금을 유예해주고 특례보증분에 대한 대출을 하는 것은 가능하다" 며 "그러나 신규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채권확보 문제가 선결되야 한다" 고 밝혔다.

자칫 부실채권이 될지도 모르는 돈을 무턱대고 빌려줄수 없다는 이야기다.

또 신규 자금지원분에 대한 이자가 제대로 들어오지 않는 것도 은행으로서는 큰 부담이다.

"협약에 따르면 협약적용 이후 원리금이 유예되는데 유예기간이 얼마가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어느 은행이 과감하게 자금을 지원하겠냐" 는게 시중은행 관계자의 말이다.

더구나 기아그룹내 계열기업간의 채무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것이 은행들을 더욱 부담스럽게 만들고 있다.

기아특수강이나 기산만을 제외하면 기아자동차의 재무구조는 괜찮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기아자동차가 이들 두회사에 보증등의 방식으로 지원한 금액을 아직 몰라 기아자동차의 정확한 재무상태 파악도 어렵다는 것이다.

또 협약대상에서 제외된 증권, 보험, 리스, 할부금융등 제2금융권의 여신도 은행권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다.

유예기간이 끝난뒤 이들 금융기관이 일제히 자금을 회수할 경우 이돈을 고스란이 은행이 갚아줘야 하기 때문이다.

모 시중은행은 생보사 8천억원, 대한보증보험 4천억원, 증권사 회사채보증 2천억원, 리스사 1조원, 카드사 4천억원, 투신소유 무보증 사채 4천억원등 3조2천억원에 달하는 기아그룹에 대한 대출금 회수압박이 은행권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 대출을 해주었다가 부실화 될 경우의 책임을 의식한 은행원들이 대출을 기피하는 것도 문제다.

한 시중은행 지점장은 "상업어음을 할인해 주고 협력업체의 신용만을 보고 대출을 해주라는데 나중에 부도가 나면 담당직원은 책임을 면키 어려울 것 "이라며 "협력업체 치고 자기신용 혹은 담보를 제공하고 대출을 받을수 있는 기업이 얼마나 되겠냐" 고 반문했다.

종금사들의 경우도 기아그룹에 신규지원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종금사 관계자는 "기아그룹은 주식분산이 잘돼 자금을 빌려줄수는 있지만 종금사의 오너들이 자금지원을 허락치 않을 것 "이라고 말했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