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자동차 1천만대 시대 - 교통개발연구원 1,200명 여론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정부가 교통난 악화로 차고지증명제 도입을 추진하는등 통행량 제한에 역점을 두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보유자들은 길이 막히더라도 업무상 필요하다는 이유로 승용차 출퇴근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통개발연구원 (李建榮원장) 이 지난 4월 서울거주 19세이상 1천2백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밝혀졌다.

승용차 출퇴근을 고수하는 이유에 대해 63.8%가 "업무상 꼭 필요하기 때문" 이라고 응답했고 ▶대중교통이 너무 불편해서 (16.8%) ▶승용차가 빠르기 때문 (8.2%) ▶여유있고 편안해서 (7.1%) ▶경제적 부담이 적어서 (3.1%) 란 응답이 뒤를 이었다.

혼잡료 징수확대, 휘발류값 대폭 인상등 승용차 이용 억제시책을 확대할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절반이 넘는 51.6%가 "그래도 승용차 출퇴근을 계속하겠다" 고 응답했고 6.8%만 "승용차 이용을 포기하겠다" 고 답했다. 이 경우 "주말에만 승용차를 이용하겠다" 는 사람은 41.6%였다.

향후 3년내 승용차 구입 의향을 묻는 설문에 36.3%가 "있다" 고 했고 구입희망 차량의 크기는 49.3%가 중형, 13.3% 대형, 34.6% 소형, 2.8%가 경차를 사겠다고 응답해 절반이 넘는 62.6%가 중형이상 대형차 구매의사를 나타냈다.

대중교통을 외면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서 (47.8%) ▶혼잡해서 (29.8%) ▶많이 걷기때문 (18.1%) ▶혼란.혼동스러워서 (4.4%) 순으로 응답했다.

교통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는 35%가 대중교통 확충을 ▶교통체계개선 (28%) ▶10부제등 차량운행제한 (25.3%) ▶단속강화 (4.7%) ▶휘발유값 인상 (3.8%) ▶차고지증명제등 주차난 해소책 (3.3%) 을 제시했다.

교통법규 위반이유를 묻는 설문에는 불합리한 신호등등 도로사정 41.8%, 지키는 사람만 손해라는 생각이 20.9%, 현실적으로 지키기 어렵기 때문이 18.7%, 꼭 지켜야 한다고 생각지 않기 때문이 10.3%, 단속이 허술하기 때문이 8. 1%순으로 나타나 법규위반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동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