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보위의 황장엽 파일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권영해 (權寧海) 안기부장을 비롯, 1.2.3차장을 모두 출석시킨 14일 국회 정보위는 사안의 민감성 때문인지 언론을 위한 중간브리핑조차 없이 철저한 보안속에 진행됐다.

박상천 (朴相千.국민회의) 의원은 미리 배포한 질의자료에서 "저명인사들이 황장엽 (黃長燁) 씨를 만났다는 언론보도가 있는데 그들이 黃씨가 진술했다는 이른바 '황장엽 파일' 에 포함돼 있는지, 혹은 정부의 승인을 얻고 접촉했는지를 밝히라" 고 요구했다.

이정무 (李廷武.자민련) 의원은 "황장엽 파일의 공개가 어렵다면 이를 언제까지 수사할 것인지 수사종결 시점을 밝혀달라" 고 묻고 "대통령선거 시점과 관련해 수사를 이용해선 안되며 수사결과를 발표할때 반드시 정보위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고 주문했다.

야당의원들은 黃씨가 강조한 '전쟁발발론 (勃發論)' 과 관련, "그의 주장이 일반화될 경우 우리 국민들은 '전시 (戰時) 체제' 에 살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고, 자유사회.시민사회의 활력이 위축될 우려가 있다" 며 당국의 신중한 접근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외국자본의 대한 (對韓) 투자심리 위축과 우리기업의 해외투자 선호등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지적한 의원들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의원들은 黃씨가 주장한 것과는 별도로 '실체적인 전쟁발발 가능성' 이 어느 정도인지 안기부측의 견해를 물었다.

군출신인 임복진 (林福鎭.국민회의) 의원은 "최근 주한미군 사령관이 '향후 2~3년간 한국에서 전쟁이 날 가능성은 매우 적다' 고 했다" 며 안기부의 입장을 물었다.

반면 김도언 (金道彦.신한국당) 의원등 일부 여당의원들은 "黃씨가 '한번은 전쟁이 일어난다' 고 해 많은 국민들이 걱정하고 있다" 며 "안기부를 비롯한 관계당국의 전쟁대비책은 어느정도 구체적인가" 를 추궁했다.

權부장은 '황장엽 파일' 과 관련, "黃씨가 평양이나 해외에서 접촉한 남측 인사들중 합법적이고 타당한 목적으로 만난 사람도 있을 것이고, 불순한 목적으로 만난 사람도 있을 것" 이라며 "이들에 대한 면밀한 조사및 구별이 필요한 만큼 수사가 장기화될 수밖에 없다" 고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黃씨에 대한 수사가 정치적으로나 대선정국에 악용되는 일은 없을 것" 이라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