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청사 용산건립 선정돼도 당장 건립 회의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용산 미8군기지가 신청사건립 자문위원회에서 새청사 최적지로 결정된 것은 조순(趙淳)서울시장 취임이후 1년여를 끌어온 새청사부지를 서울 한복판인 용산 일대로 해야한다는 시민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실현가능성 여부에서는 서울시나 자문위원회 모두가 지극히 회의적이다.게다가 내년으로 끝나는 趙시장의 임기내에 시장권한인 공용청사 건립을 위한 도시계획시설 입안이 가능한지 조차 의문시되고 있다.도시계획입안권이 분명히 시장에게 있지만 협의요청에 응하지 않는 미군을 무시하고 도시계획선을 그을수 없다는 점이다.

용산이 선정된 것은 이 일대에 초고층 오피스지역및 텔레포트등 인텔리전트 빌딩이 들어서는 부도심으로 육성될 예정이어서 신청사 입지에 따라 종합 개발이 가능하고 지하철 4.6.11호선이 지나 시민 접근성이 뛰어나며 유력한 후보지였던 뚝섬에 비해 상징성면에서 낫다는 것이다.

문제는 용산미군기지내 사용문제가 한.미정부가 협의에 의해 이뤄져야하는 것으로 단순히 지방자치단체의 희망사항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데 있다.

특히 정부는 90년2월 미국과 용산기지 평택 이전계획에 합의했으나 1조원이 넘는 이전비용 때문에 사실상 무산된 상태다.

진철훈(秦哲薰)신청사기획단장은“예정지가 장교숙소.식당.창고등으로 사용되고 있어 토지 이용률이 낮은 만큼 기지내 시설 재배치를 통해 신청사를 지을 수 있을 것”이라며“비용은 서울시에서 모두 부담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시가 지목한 이태원로터리 주변 토지가 구릉지에 해당돼 신청사 건립때 맞은편 미8군 벙커등 주요 군사시설이 노출될 우려가 있다는 미군측의 의견도 있어 과연 보안시설을 제외하고 어느곳에 부지를 찾을 수 있을지 조차 불투명한 상태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