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이슈포럼> 경부고속철도 - 공사현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충북청원군강외면연제리 경부고속철도 오송 궤도기지 공사현장.요즘 한창'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곳이지만 기자가 지난 14일 둘러본 공사현장은 의외로 조용했다.길이 1.2~1.3㎞짜리 선로 20개를 놓을 땅은 아직 고르기도 안돼 있는 상태.또 진입로도 변변치 않다.선로는 서로 연결되는 것도 아니고,눈.비를 피할 시설.공간도 없었다.

이곳이 바로 건교부가'TGV 열차를 안전하게 성능을 유지하며 보관하겠다'는 곳이다.

현장의 목소리는 그러나 서울에서 들었던 설명과는 사뭇 달랐다.

김성용(金聲鏞)궤도부장은“오송기지는 원래부터 궤도의 유지.보수를 위해 건설하는 곳”이라며“차량을 보관하거나 시험운행을 할 곳이 못된다”고 했다.

건교부가 말하는 안전한 차량관리는 3백50나 되는 열차를 1.2㎞ 길이 선로에 한달에 한번쯤 굴려보는 정도의'시험운행'을 하며 노반공사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것인 셈이다.

92년 6월 무턱대고 시험선 구간 착공을 서두른 것보다 더한 만용이란 것이 오송기지 건설현장을 보고난 소감이었다.시험선 구간 공사는 99년 완공이 극히 불투명(김성남 중부건설공사사무소장)해 열차가 얼마동안이나 묶여야 할지도 모르는데 공단은 프랑스측과'계약한대로'2백40량 모두를 국내에 들여온다.

늦은 공기(工期)를 조금이라도 만회하려면 당연히 북적거려야 할 시험선 구간 공사현장은 어디나 한가한 모습이었다.한 시공회사는 “계획을 세워 시공을 해야 하는데 할 수가 없다”고 했다.도면대로 시공하자니'엉터리'일까봐 겁이 나고 도면을 검증받는데 시간이 너무 걸린다는 것이다.때문에 시공자들은 일손을 놓고 있다.반면 외국인 감리자는'감리할 것이 없어'놀다가도 때가 되면 감리비는 꼬박꼬박 챙겨간다.

정부가 이런 문제들에 과연 어떤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까.대책을 만들고 있는 주체는 바로 고속철도를 이 지경으로 끌고온 당사자인 상황에서 국가적 이해가 걸린 대역사의 최종 대안을 내놓을수 있을까.난제(難題)가 너무 많고,그들이 결정할 문제가 아닌 것도 많다는 지적이다. 신동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