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생활정보지 회사들 길거리 생활정보지 배포대 철거로 한판 싸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대구시와 생활정보지 회사들이 길거리에 설치된 생활정보지 배포대 철거를 둘러싸고 한판 싸움을 벌이고 있다.

시에서 배포대를 철거하면 회사들은 다시 설치하는'철거''재설치'과정이 되풀이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대구시에서 발행되는 생활정보지는'벼룩시장''교차로'등 일간.격주간 생활정보지를 합쳐 모두 7개에 이른다.이들 회사의 배포대는 모두 3천1백개. 시는 최근까지 3천여개를 철거했지만 이들 회사가 곧 바로 배포대를 다시 설치하는 바람에 배포대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시가 생활정보지 배포대 철거에 나선 것은 지난달초부터.문희갑(文熹甲)시장이“도로에 어지럽게 널려 도시미관을 해치는 배포대를 정비하라”고 지시한뒤 본격화됐다.

이후 구청.동사무소 직원들은 자신의 승용차까지 동원,길거리의 플라스틱 배포대를 싹쓸이식으로 철거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정보지 회사들은 1~2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다시 그자리에 배포대를 설치하는 숨바꼭질이 계속되고 있는 것. 단속이 계속되자 이들 회사는“시민들의 알 권리 보호차원에서 단속을 중지해 달라”는 건의서를 최근 대구시에 냈다.

이들은 건의서에서“회사마다 배포대를 다시 만들기 위해 수천만원을 낭비하고 있다”며“시민들의 중요한 정보원으로서의 역할을 고려해 양성화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한다.

생활정보지'벼룩시장'의 황재영(黃在永)대구지점장은“시에서 배포대 설치를 허용할 경우 회사별로 인도 곳곳에 설치한 배포대를 통합,공동배포대를 만들어 도시미관도 살리고 시민통행에도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익한(金翊漢)시 건설행정계장은“인도를 점거하고 있는 배포대는 공익목적으로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도로교통법 위반이어서 철거대상”이라고 밝히고 있다.

시민들이 생활정보지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얻고 있는 것은 인정하지만 통행에 불편을 주고 쓰레기를 양산해 단속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도시미관도 살리고 시민들도 생활정보지를 쉽게 구할 수 있도록 시가 이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구=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