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쌀 사서 북에 보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지난주 남북 경제협력추진위원회 9차회의 합의에 따라 북한에 지원하게 될 쌀 40만t은 대부분 외국산으로 조달된다. 또 첫 대북수송은 북한과의 차관계약과 국회 동의 절차가 마무리된 이후인 7월 초 이뤄질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6일 "현재 적정 재고량을 제외한 정부 보유쌀이 7만t에 불과해 외국산 쌀로 충당해야 할 상황"이라며 "북한의 식량사정을 감안해 조속히 구매 절차에 착수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외국산 쌀의 t당 가격은 지난해 250~265달러 수준에서 최근 340달러까지 크게 올랐으나 정부는 1650억원의 대북 식량차관 예산 범위 내에서 조달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차관조건은 연리 1%에 10년 거치 20년 상환이며 40kg단위 부대에 '대한민국'표시를 한 뒤 전달된다. 정부는 지난해와 2002년 국산쌀 40만t을 각각 지원했고, 2000년에는 태국산 쌀 30만t과 옥수수 20만t을 제공했다.

한편 남북한은 지난 5일 평양 양각도호텔에서 경추위 9차회의 종결회의를 열어 7개항의 합의문을 체결했다. 양측은 30%의 공정을 보이고 있는 개성공단의 시범단지(2만8000평 규모)에 진출할 남측 15개 기업이 올 하반기 중 상품생산이 가능할 수 있게 이달 중 부지정리공사를 마치기로 했다.

양측은 경의선과 동해선 도로를 10월까지 개통키로 했고, 철도도 10월 시험운행을 거쳐 내년 중 완전 개통키로 합의문에 담았다.

또 남북대표단은 9차회의에서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남북한 교역물자를 제3국 선박을 통하지 않고 직접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 등을 담은 남북해운합의서 및 부속합의서에 서명했다. 남북해운합의서 등에 따르면 북한은 남포.해주.고성.원산.흥남.청진.나진 등 7개항을, 남한은 인천.군산.여수.부산.울산.포항.속초 등 7개항을 각각 상대방 국적 선박이 운항할 수 있도록 개방한다.

이영종.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