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혁명 희생자 추모위한 10만 의총 조성사업 동학혁명단체들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정읍시가 갑오동학혁명(1894년) 희생자 추모를 위해'10만 의총(義塚)'조성사업을 추진하자 동학혁명 단체들이 역사를 왜곡시킬 우려가 크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정읍 갑오동학혁명 기념사업회(회장 金賢)는 19일“정읍시가 추진하는'10만 의총'설립 예정지인 정읍시덕천면하학리 황토현은 동학농민군의 전몰지가 아닌 승전고를 올린 지역이고 희생자 수도 가장 적은 곳으로 이곳에 추모기념관을 세운다는 것은 역사를 왜곡시키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 사업회는 이어“전국 각지에서 정부군에 대항하다 숨진 동학농민군이 30만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10만이라는 희생자 수가 어떤 근거로 나온 것이며 검증되지 않은 것을 사실인 것처럼 해'10만 의총'을 설립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전주동학혁명기념사업회도“정읍시가 동학에 대한 기념사업을 벌이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동학에 관련된 전문연구기관과 협의도 없이 역사를 주관적으로 해석,이같은 사업을 펼치는 것은 행정편의주의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이들 동학단체는 이에따라 농민군들이 승리를 거둔 황토현전적지보다 3천여명 이상이 숨진 구미란의 발상지인 김제시원평면과 정읍시태인면등에 건립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 단체는 또 명칭도'순국갑오 선열지묘''무명동학 농민군지묘''동학농민군 의총'등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읍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당시 정부의 폭정에 맞서 싸우다 숨진 농민군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혁명의 발상지인 황토현에 의총을 조성하자는 것이고 10만이라는 숫자는 실제 10만이 희생됐다는 의미보다 많은 사람이 희생됐다는 뜻”이라며“역사가 왜곡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정읍시는 2006년까지 사업비 1백85억원을 들여 황토현전적지에 3단계로 나눠'10만 의총'과 동학민속박물관.정신교육관등을 설치하는 동학유적지 확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읍=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