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2년차 국정 운영 리모델링 … 이 대통령 전열 재정비 의지 반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집권 2년차를 맞은 이명박 대통령이 구상하는 인적 정비 작업의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우선 개각에 앞서 4대 권력기관장들의 재배치 작업이 초읽기에 들어간 기류다. 청와대 주변의 얘기를 종합하면 검찰총장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의 교체가 사실상 확정됐다고 한다.

권력기관장들에 대한 이 대통령의 생각은 당초 교체 규모를 최소화한다는 것이었다. 김성호 국정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세 명 모두가 노무현 정부 때 임명됐지만, 임기제의 취지를 최대한 존중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었다. 그래서 청와대 안팎에선 4명 중 한 명 정도만 바뀔 것이란 게 그동안의 기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기류가 확 바뀌었다. 지난해 1년 동안 청와대 등 여권이 겪은 혼란의 한 원인으로, 권력기관장들의 역할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집권 2년차를 맞아 이 대통령이 줄곧 “공직사회 등의 비리를 없애고, 사회 질서를 바로잡겠다”고 다짐해 온 것도 권력기관의 면모 일신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뒷받침했다.

이 대통령은 12일 오전 라디오 연설에서도 “금년 한 해, 이념이나 지역을 떠나 경제를 살리고 서민의 고통을 덜어주는 일에 전념하겠다”며 “인기 발언이나 하면서 행동하지 않는 대통령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스스로 다짐했다.

청와대 인사들은 집권 2년차의 국정 운영 방식을 리모델링하겠다는 통보라고 해석했다. 지난해 1년간 미흡했다는 평을 받은 정치에 대한 장악력을 높여 국정 운영에 탄력을 도모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도 전했다.

4대 권력기관장 대폭 교체는 이런 이 대통령의 의지가 작용한 결과다.

김 국정원장의 경우 쇠고기 파문과 촛불 시위에서의 대처 문제가 집중 거론됐다.

한나라당에서도 친 이명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김 원장에 대한 교체 요구가 높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법조인 출신인 김 원장의 경우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도마에 올랐다”고 말했다.

후임자를 놓고 법조계 출신 김경한 법무장관보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나 원세훈 행정안전부 장관이 더 높은 점수를 청와대 내에서 받고 있는 것도 ‘법조인 출신 국정원장’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 때문이다.

어청수 경찰청장의 경우 임기가 아직 1년 정도 더 남아있다. 그러나 청와대와 경찰청이 함께 진행해온 경찰 간부 인사가 최근 들어 연기되는 등 교체설이 증폭돼 왔다.

12일 오후 들어 “이르면 13일 어 청장이 청와대에 사퇴 의사를 밝힐 것”이란 소문이 확대되기도 했다. 한때 어 청장이 행정안전부 장관이나 청와대 경호처장으로 이동할 것이란 설이 돌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확정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선을 그었다.

한상률 국세청장의 경우 임채진 검찰총장과 함께 유임이 유력시됐으나 전군표 전 국세청장과 관련한 의혹이 보도되고,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이 문제에 대한 검증에 돌입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청와대 개편이나 개각은= 청와대 관계자는 “4대 권력기관장 인사와 개각은 무관하다”며 “아직 개각에 대한 공식 논의는 청와대 내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청와대 입장과는 별도로 설 연휴 즈음해 청와대 조직 개편과 일부 부처 장관의 교체가 이뤄지리라는 설은 여전하다. 이와 관련, 경제 라인만 교체하는 ‘소폭개각설’, 통일·안보 라인까지 추가하는 ‘중폭개각설’이 엇갈리고 있다.

한편 청와대 개편과 관련해선 수석비서관 1명이 교체 대상에 올랐다는 얘기가 유력하다. “지난해 6월 쇠고기 협상 파문의 여파로 청와대 수석들을 교체한지 7개월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대통령이 큰 변화를 원치 않는다”는 게 청와대 내부의 설명이다.

서승욱·남궁욱 기자

[J-HOT]

▶ "월 700만원 순익"…9개월간 딱 하루 쉬어

▶ 현숙 '아버지, 자신 씻기려는 딸 머리채 잡기 일쑤'

▶ "한국궁사 겁났는데, 요즘은…" 中얘기에 충격

▶ 대국민 사과 "국민만이 강기갑 심판할 수 있다"

▶ "권력기관장 4명 중 3명 교체"

▶ '신라면' 가장 싼 나라는 중국, 가장 비싼 나라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