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부도기업.은행의 공동노력 필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진로그룹이 1조2천억원에 달하는 보유부동산을 매각하는 자구(自救)노력을 표명하고 주거래은행에 추가금융지원을 신청했으나 은행측은 난색이다.은행으로선 혼자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에 물리는 위험을 피하고 싶을 것이다.이 경우 다른 은

행과의 공동노력을 통해 위험을 분산시키면 부실징후가 있는 기업의 정상화가 이뤄져 특정은행에서 나타날지 모를 대형 부실여신발생을 막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은행연합회는 금융기관협약안을 마련,자금난 속에서 살릴 수 있는 기업을 최대한 구제한다는 방침을 정했다.이같은 은행간의 자율협약은 불필요한 금융공황에 대한 우려를 줄이고,루머로 희생되는 기업수를 줄여 결과적으로 은행의 경

영수지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은행의 공동노력은 자체정상화,즉 자구노력을 최대한 장려하는 전제에서 행해져야 한다.한 은행의 부실여신이 다른 은행으로까지 파급돼 구조적 부실을 확대하는 계기가 돼서는 안될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외부 회계감사의 초기

실시와 아울러 은행 스스로의 대출심사기능이 현재보다 훨씬 정교해져야 한다.은행간의 공동노력이 실효를 거두려면 은행과 제2금융권의 협약도 필요하다.제2금융권은 은행권의 자금지원 가능성을 보고 신용대출을 하지만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즉각

대출회수에 나서는 특성이 있다.따라서 자금지원을 계속할 것인지,손을 뗄 것인지를 은행이 판단하기 전에 제2금융권과도 무리한 대출회수를 자제하는 신사협정이 필요하다.

은행의 공동협약이 회생가능성이 없는 기업에 대한 무한정의 자금지원약속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은행의 자금은 고객이 맡긴 돈이다.앞으로는 은행도 수지가 악화되면 스스로 보유자산을 매각하고 직원을 대폭 줄여서라도 자구노력을 해야 한

다.이 원칙이 모든 기업에 예외없이 적용돼야 경쟁을 통한 효율의 추구가 가능하다.어려운 경제상황을 은행과 기업이 같이 이겨내는 노력을 통해 앞으로는 무리한 투자와 방만한 대출관행이 개선돼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