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인센티브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강력한 인센티브 도입, 이공계 학부정원 감축과 커리큘럼 개혁, 기업.대학.정부의 연계 강화….

31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개막된 '한국의 이공계 인력 양성 강화를 위한 국제회의'에서는 이공계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이 제시됐다.

한국산업기술재단과 북미주한인대학교수협회.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주관하고 산업자원부가 주최한 이 회의에는 제임스 웨이 프린스턴대 공과대학장 등 국내외 학계.재계 인사 20명이 발표자 및 토론자로 참가했다.

이날 기조연설에 나선 정운찬 서울대 총장은 "이공계 출신의 뛰어난 인재가 관련 분야에서 직업을 찾지 못한다면 국가 경쟁력은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며 "정부가 과감한 과학기술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 총장은 또 "미국의 스탠퍼드대나 MIT의 경우 연구자들이 신기술 개발에 따른 이익을 돌려받도록 하는 등 보상을 위한 강력한 인센티브제를 도입하고 있다"며 "우리도 혁신적인 보상체제로 전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주제발표에선 이공계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학정원의 감축과 교육과정의 개혁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됐다.

김시중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은 구체적으로 ▶현실적인 수요에 맞도록 이공계 학부의 정원을 조정하고 ▶이공계 교수의 교육기능을 강화하며 ▶물리.화학.생물 등 기초과목을 강조하고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전자산업과 같은 핵심 분야에선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권오현 삼성전자 사장은 "2005년 국내 전자산업은 1986년에 비해 규모가 8배로 커지지만 이 분야 석.박사 전공자는 2.6배 늘어나는데 불과해 18만명의 고급인력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윤식 북미주한인대학교수협회장(조지타운대 교수)도 "제조업 중심의 산업은 값싼 인력을 가진 중국과 인도와의 가격경쟁에서 밀리게 된다"면서 "첨단분야를 이끌 이공계 인력을 기르는 데 관심과 지원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