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다 바로 창업 산학 협력 이뤄져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이러다간 10년 후의 국가 미래가 걱정된다."

"왜 매년 10만명이 넘는 기술인력이 쏟아져나오는데도 이공계의 위기가 나오는가."

31일 이공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회의에 참석한 국내외 전문가들은 한국 경제의 성장 기반이 돼야 할 이공계에 대한 위기감을 쏟아냈다. 위기감이 높은 만큼 해결책도 다양하게 쏟아져나왔다.

◇이공계 위기의 본질

▶제임스 웨이(프린스턴대 교수)=미국에서도 공학.수학.물리학 학사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이공계 졸업생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이공계의 사회적 지위가 하락하는데 따른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산업화 단계를 넘어서면서 제조업과 공학의 상대적인 중요도가 갈수록 떨어지는 탓이다.

▶김시중(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한국에서는 1995년부터 2003년까지 공학계 학생 수는 무려 50%나 늘어났지만 기업 입장에선 질적으로 우수한 이공계 인력이 극히 부족하다. 문제는 양이 아니라 질이다.

◇위기 타개책

▶루이스 M 브랜스코움(하버드대 교수)=미국 대학은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MIT의 경우 주변에 많은 소기업이 있다. 학생들이 연구하다 아이디어가 생기면 곧바로 창업한다. 대학은 산업과 함께 협업하고 있다. 이것이 한국과 다른 점이다.

▶한홍택(UCLA 교수)=공학도들은 전공 공부를 죽도록 하지만 사회에 진출하면 변변찮은 보수를 받는다. 한 분야에만 전문가이기 때문에 경영에 대한 경험이나 교육이 부족한 탓이다. 이에 따라 이공계 교육은 학부에서 통합교육이 절실하다. 과학과 공학.경영.정보기술(IT) 교육을 통합하는 것이다. 또 리더십 등 기술 이외의 교육도 필요하다.

◇산학협동이 중요

▶이용태(트라이젬 컴퓨터 명예회장)=학교 교육에 대한 기업들의 불만은 상당한 수준이다. 대학이 현실적인 커리큘럼을 만들고 교수 방법을 다양화하라는 요구도 나온다. 산업과 대학이 협력하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1~2학기 정도 산업현장에서 실무훈련을 쌓고, 학기당 18학점을 이수하는 방식이다.

▶조동성(서울대 경영대학 교수)=이공계 인재들이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테크노 MBA와 같은 산학협력 프로그램이 더욱 중요해졌다. 이공계 인력을 인재로 키워 기업과 산업,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홍준.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