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 골프장 사업 백지화되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한국공항공사가 김포공항 외곽에 지으려던 대중 골프장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700억원에 이르는 개발제한구역 훼손분담금에다 청와대 경호처 소유의 훈련장 이전 비용까지 떠안아야 할 상황이기 때문이다. 공항공사는 2004년부터 김포공항 활주로 북측의 107만㎡ 부지에 골프장을 짓기 위해 절차를 밟아 왔다. 서울 지역 18홀, 부천 지역 9홀을 합해 27홀의 골프장을 2012년 개장한다는 계획이었다. 공항 주변의 불모지를 골프장으로 바꿔 경관을 개선하고 수익도 올리기 위해서다. 개발은 민간 사업자가 골프장을 지은 뒤 국가에 기부채납하고 20년간 운영해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BTO)을 쓴다. 사업비는 1800억원.

그런데 이 부지에는 개발제한구역이 상당 부분 들어 있다. 관련법상 개발제한구역 훼손분담금을 내야 하는 것이다. 대략 700억원이다. 분담금은 개발제한구역 관리를 위한 재원 마련 차원에서 징수한다.

올 상반기에는 변수도 생겼다. 골프장 부지 내에는 청와대 경호처의 훈련장이 있다. 12만㎡ 규모로 행정동과 각종 훈련시설이 있다. 청와대 경호실(현 경호처)은 이를 충남 지역으로 확장 이전하기 위해 부지도 마련했다. 기존 훈련장은 국토해양부가 관리하기로 돼 골프장 부지로 무상 사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현 정부는 예산 절감을 위해 훈련장 이전 계획을 백지화했다. 공사 측이 골프장을 지으려면 훈련장 이전 부지를 마련해 줘야 하는 것이다. 골프장 건설비가 700억~800억원인데 분담금과 훈련장 이전 비용으로만 1000억원가량 써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민간 사업자에게 부담을 다 떠넘기면 민간 사업자로부터 임대료를 받기 어렵다”며 “임대료 없이 골프장 사업을 내주면 특혜 시비가 우려돼 사업 추진 여부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사는 연간 10억원의 임대료 수입을 기대했었다. 공사 성시철 사장은 “분담금과 이전 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의하겠다”고 했다.

강갑생 기자

[J-HOT]

▶쌍용차 부도내고 알짜 자산만 가져간다?

▶"내게 봉사7년 수녀꿈 접고 시집왔는데 암"

▶조폭과 어울리다…미스 멕시코의 몰락

▶사랑의 교회 옥한흠 목사 "기진맥진할때 하나님 나타나"

▶MBC 뉴스데스크 반박… 공언련 "다시 한번해보자"

▶한국판 '와타나베 부인'이 뜬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