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센터 유치 경쟁률 5 대 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 29일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의 중저준위 원전수거물 임시 저장고에는 200ℓ짜리 노란색 드럼통이 가득 들어차 있었다. 이 저장고의 용량은 5만200드럼(200ℓ 기준)으로 현재 3만3141드럼이 쌓여 있다.

고리발전소 인근에 계획된 480만㎾ 용량의 신고리원자력발전소 1~4호기가 완공돼 원전수거물이 더 쏟아져 나오면 이 임시 저장고는 당초 예정된 2014년 이전에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1986년 이후 추진 중인 원전수거물 관리시설(원전센터) 건설 사업이 18년째 표류하는 동안 원전수거물 처리문제는 악화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원전센터 문제에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 30일까지 전남 영광군 홍능읍, 전북 고창군 해리면, 전남 완도군 생일면, 경북 울진군 근남.기성면 등 네곳이 원전센터를 유치하겠다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지난해 7월 신청서를 내 예비신청 효력이 남아 있는 전북 부안군을 합치면 원전센터 유치는 5파전으로 확대된 셈이다.

지난해 부안사태를 치른 뒤 비관적으로만 보였던 원전센터 건설사업에 예상보다 많은 지역 주민이 동의함에 따라 사업추진의 불씨가 살아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추진되나=주민의 유치청원 없이도 기초의회의 의결이 있으면 예비신청은 가능하다. 산업자원부는 9월 15일까지 해당 지역 단체장의 예비신청 접수를 마감할 예정이다. 부지의 적합성이 확인된 지자체는 주민투표를 통해 11월 30일까지 산자부 장관에게 본신청을 해야 한다. 부지선정위원회는 12월 31일까지 후보지를 최종 선정한다.

◇넘어야 할 산 많다=산자부 원전사업지원단 관계자는 "유치청원은 원전센터 건설 사업의 첫 단계일 뿐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말했다.

산자부는 9월 15일로 예정된 예비신청이 앞으로 부닥칠 최대의 고비로 보고 있다. 유치청원은 읍.면.동 단위의 주민 의사가 반영된 것일 뿐이어서 기초단체장이 지역 내 다른 읍.면.동 주민의 반발을 지나치게 의식할 경우 예비신청이 무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