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간 교섭대상으로 삼지 않으면 사회공헌기금 논의 참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노동계의 사회공헌기금 요구와 관련, 노사 간 교섭대상으로 삼지 않는 한 논의에 참여하겠다는 '조건부 공론화' 입장을 제시했다.

김영배 경총 상임부회장은 28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주요기업 인사.노무담당 임원회의'에 참석한 뒤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金부회장은 "기업들 역시 사회공헌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만큼 논의 자체에는 참여할 수 있다"며 "노사정위에서도 그런 논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金부회장은 그러나 "사회공헌기금은 노사 간의 협상 테이블에서 논의될 성격이 아니라는 전제 조건에는 변함이 없으며, 사회공헌기금 조성은 어디까지나 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항"이라고 못 박았다. 金부회장은 "최근 사회공헌기금의 공론화 필요성을 언급했던 김대환 노동부 장관도 이 문제가 노사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기 때문에 재계와 입장 차이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총 측은 이날 회의에서 "민주노동당이 최근 몇몇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단체협약 이행 여부 등에까지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업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제도권에 진입한 만큼 노동계만이 아닌 국민 전체를 상대로 한 정책정당으로 역할을 해달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회공헌기금=기업들이 사회적 공익 목적으로 수익의 일부를 출연해 조성하는 기금. 최근 자동차 4사 노조들이 순이익의 5%를 비정규직 문제 해결과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하자는 요구를 제시해 이슈가 됐다. 재계는 기업의 사회공헌은 자발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이지 노사협상을 통해 강제돼서는 안 될 사항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