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젠.톨루엔 등 유해유기화합물 제거하는 고도정수처리시설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현재 일반화돼 있는 염소처리법으로는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벤젠.톨루엔등의 유해유기화합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이 개발됐다.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 폐기물분석과 김종향(金鍾響.40.여)박사는 11일“이산화티타늄(TiO2)광촉매를 이용해 상수원 물속에 들어 있는 유해 유기화합물을 90%이상 제거할 수 있는 정수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金박사는 현재 원수→침사지→모래여과→입상활성탄투여→염소소독과정을 거치는 정수과정에서 입상활성탄투여및 염소소독과정 대신에 이 방법을 도입,완벽한 정수를 실현한 것이다.

새로운 기술은 스테인리스로 된 1.5ℓ반응기 한 가운데 자외선램프를 설치,3백의 벤젠을 넣고 분말상태의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한뒤 안정기(4백50W)를 통해 자외선에너지를 공급해주면 이산화티타늄에서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분해자(分

解者)가 발생돼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하게된다.

실험결과 한시간후 유해유기물질인 벤젠은 90%,톨루엔은 95%,크실렌유는 90%가 분해됐다고 金박사는 밝혔다.

金박사는“이번에 개발된 고도정수법은 염소소독때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THM)등 2차오염물질의 생성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처리.악취제거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창원=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