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치매대책 국가가 나서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적지 않은 노인들이 뇌기능의 약화로 자기를 상실하는 치매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은 안타깝기 그지없는 일이다.환자 본인은 말할 것도 없고,치매를 앓는 부모를 모시는 문제로 자식들이 심한 갈등을 겪는가 하면'현대판 고려장'의 죄

책감까지 느끼고 있다니 보통 심각한 것이 아니다.본보에 연재된'가정파괴병 치매'는 우리가 더 이상 노인의 건강문제를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로만 방치할 수 없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뇌기능의 약화와 함께 전체적인 신체기능이 퇴화하는 것은 어찌보면 인간이 피할 수 없는 노화현상일 것이다.따라서 경제성장과 의료발달 등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 치매환자가 늘어나게 돼 있다.노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도 예외

일 수 없으며,핵가족화의 진전과 전통윤리의식의 파괴 등과 맞물려 치매환자 관리가 사회적인 과제로 부각된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런만큼 치매환자관리나 예방문제를 가정차원의 일로 넘겨버릴 수 없으며,국가가 나서서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우리사회는 65세이상 인구가 전체의 5.8%로 노인인구 7%의 고령화사회를 눈앞에 두고 있다.노인

의 소득.건강 등 복지문제는 노령화사회의 중요한 국가과제다.정부도 이를 파악하고 지난해 노인복지종합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기는 하다.그러나 시행실태는 걸음마도 제대로 걷지 못하는 형식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치매문제만 하더라도 전문

요양기관이 별로 없고,기초연구소조차 없다고 하니 그 부담과 고통이 모두 가정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지금 치매로 고생하는 노인들이 우리 경제를 이만큼 끌어올린 주역들이라는 점이다.그들은 제대로 먹지도,써보지도 못한 자기희생을 통해 사회를 발전시켜 왔지만 정작 늙어서 사회로부터 이렇다 할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

는 셈이다.치매문제는 노인복지를 위해 진전된 정책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는 것을 웅변하고 있음을 정부는 알아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