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속철 지상 통과' 급물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경부고속철도를 기존 경부선 선로를 따라 대구 도심을 지상으로 통과하는 이른바 '지상화' 추진론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시외곽으로 지하화하는 방안을 선호한다고 정부에 건의했으나 최근 대전시가 도심 지상통과방안을 결정하면서 지역 여론이 급선회하고 있는 것.

24일 대구시 및 시의회에 따르면 내달 8일 시의회에서 철로 주변의 주민대표와 시의원, 대구시.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상화 통과방안에 대한 설명회를 열기로 했다.

대구시의회 강황 의장은 "지난 20일 철도시설공단 측에 경부고속철도의 대구 도심 통과방안에 대한 설명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결과 내달 초 시의회를 방문해 설명회를 갖도록 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구시 서구 비산동 등 경부선 철도 주변의 주민들과 기초의회 의원, 시의회 의원을 중심으로 지난주 말부터 시작된 '철도주변지역 개발을 전제로 하는 고속철도 지상화' 서명운동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지난달 대전시가 철로주변 도시환경을 정비하는 데 소요되는 5100억원을 정부에서 지원받는 조건으로 경부고속철도의 도심 지상통과를 받아들이면서 표면화됐다.

대구의 경우 고속철이 시외곽으로 지하화돼도 기존 경부선은 그대로 존속돼 시가지가 남북으로 갈라지고 철도 주변지역이 저개발 지대로 남아 고속철도 지하화의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부 시민들은 도심 지상화 통과로 결정되면 시외곽 지하화에 비해 7000억원의 공사비를 줄일 수 있어 이 돈으로 낙후된 철로변 도시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들도 "경부고속철도를 지상으로 통과시키는 대신 철로변 정비에 소요되는 사업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면 지역 개발에 득이 될 것"이마며 "주민들의 의견이 모아진다면 경부고속철도의 도심 통과 방안에 대해 재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