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부도회오리>野,對與공세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보(韓寶)사태에 대한 야권의 공세는 주말에도 계속됐다.노동법 정국에서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 나아가 12월 대선가도에까지 연결시키겠다는.올코트 프레싱'작전이다. 국민회의는 김대중(金大中)총재가 25일“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직격탄을 날린뒤 핵심부와 여권 전반에 걸쳐 집중포화를 퍼붓고 있다. 자민련도 26일 안택수(安澤秀)대변인의 논평을 통해“신한국당에서 한보사태의 배후인물로 의혹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뻔뻔스레거짓말을 하고 있다”며“그렇다면 귀신이 압력을 넣어 5조7천억원의 대출이 이뤄졌다는 말인가”라고 지원사격을 했다.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총무와 지역구(대구남)에 내려가있던 자민련 이정무(李廷武)총무는 이날 전화로.한보게이트'를 공략할전략을 협의했다. 재경.통산.법사위등 3개 상위를 소집하는 방안과 임시국회를 소집하는 방안이 논의됐다.임시국회는 신한국당의 노동법처리에 대한 원천무효선언이 전제돼야 한다는 것이 야권의 입장이어서 현재까지는 상위소집의 가능성이 높다. 양당내부에선 국정조사권발동과 청문회개최 주장도 심심찮게 나온다.불과 며칠전까지 최대의 현안이었던 노동법문제는.한보태풍'에일단 밀려난 인상이다. 양당 합동의 한보조사단도 28일 합동의총에서 공식 구성이 마무리,본격 가동된다.양당은“이미 믿을만한 정보를 상당분량 입수해 분석.확인중”이라고 엄포를 놓고 있다.이처럼 겉으로 드러난야권의 대응은 일사불란하고 단호한것 같지만 속내 를 들여다 보면 반드시 그렇지만도 않다. 우선 권력핵심에 타격을 줄만한 결정적인 물증은 확보된게 없는눈치다.사태가 워낙 크고 관련자도 많아 앞으로 증인과 각종 물증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지만 아직은 원론측면에서의 여론 불붙이기 대여(對與)성토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게다가 이번사태를 대하는 양당의 자세에서도 미묘한 차이가 엿보이고 있다.김대중총재가 강도높은 대여공세를 주도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김종필(金鍾泌)총재는 지금까지 말을 아끼고 있다.자민련의 다른 당직자들도 한보사태에 대해 언급하는데 조심스러운 태도다. 자민련은 24일 국민회의가 합동조사단 구성을 먼저 발표하자 여기에 동의하면서도 공식 구성은 28일로 늦췄다.노동법기습처리이후 파업정국에서 상대적으로 강경한 자세로 야권의 투쟁을 선도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고작해야 대변인실에서 성명.논평을 내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양당의 공동보조가 전처럼 매끄럽지 못한 것이다.야권이 27일의 반독재투쟁공동위원회와 28일의 합동의원총회에서 모처럼의.호재'를 요리할 전략을 어떻게 마련할지 주목된다. <김석현.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