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중 개각 유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노무현 대통령은 20일 청와대에서 열린 열린우리당 지도부와의 만찬에서 다음주 중 조기 개각 여부에 대해 "언론에서 앞당기라고 압력을 넣는 것 같은데 아직 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과도 상의를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핵심 참모는 "개각을 당기는 쪽에 무게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면 맞다"며 다음주 중 개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했다.

열린우리당의 만찬 참석자들도 "조기 개각이 기정사실화돼 이제 어쩔 수 없이 그쪽으로 간다는 느낌을 만찬 자리에서 받았다"고 말했다.

개각 실무를 담당하는 정찬용 청와대 인사수석은 이날 새벽엔 "(조기 개각은) 황당하고 쓰잘 데 없는 소리며, 나는 무시하기로 했다"고 말했으나 몇 시간 뒤엔 "대통령의 지침을 받아봐야겠다"는 선으로 후퇴했다. 이와 관련, 개각시기를 놓고 여권 내부에서 찬반논란이 있었다고 여권의 한 관계자는 말했다.

청와대가 개각시기를 당초 검토했던 6월 말보다 한달 앞당기는 방안을 고려하는 이유는 두 가지다. 무엇보다 조기에 공직사회를 재정비하는 게 급선무라는 판단에서다. 또 다음달 7일 17대 국회 개원식 이후 열린 총리 인준을 위한 청문회가 파행을 겪을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 개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탓도 있다.

그러나 반대의견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조기 개각 반대론의 요체는 물러나는 고건 총리가 제청권을 행사하는 게 모양이 안 좋다는 것이다. 高총리는 1998년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김종필 총리내정자가 인준받기 어려울 것 같자 제청권을 행사해준 적이 있다. 당시 高총리는 "정부 이양을 위한 마지막 봉사"라고 했다.

그러나 그는 최근 사석에서 "그때엔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지만 앞으로 그럴 일이 있겠느냐"고 말했다고 한다.

한편 유인태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날 "참여정부 출범 때부터 (장관이) 그대로 있는 7~8개 부처는 개각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보건복지.통일.문화관광.국방 등 4개 부처가 대상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