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보다 먼저 금리 못올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중국이 미국보다 더 빨리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다."

중국 경제의 연착륙 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홍콩의 탕잉녠(唐英年)재정사장(재경부 장관 격)이 중국 정부의 향후 경제운용 기조를 암시했다. 唐재정사장은 중국의 행정특구인 홍콩 경제의 조타수를 잡고 있는데다 베이징(北京)에 두터운 인맥을 갖고 있다.

그는 지난 17일 중국의 금리인상설이 나도는 데 대해 "금리를 올리는 선결 조건은 미국의 금리인상"이라고 밝혔다. "중국이 금리를 먼저 올릴 경우 현재 위안(元)화를 미 달러화에 사실상 연계시킨 환율 시스템이 충격을 받아 위안화 평가절상의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발언은 중국이 당분간 대출 억제 등을 통해 돈줄을 죄면서 건설용 토지 공급을 줄이는 제한적인 경기 조절책에 매달릴 것을 시사한다.

중국은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목표치(7%대)를 훨씬 웃도는 9.8%에 이르렀으나 금리 인상.위안화 절상과 같은 급제동 대책을 꺼리고 있다. 특히 경제 전반을 뒤흔들 위안화 평가 절상은 한사코 피하려고 한다.

문제는 물가 오름세다. 중국 대륙의 소비자물가는 지난달 연 3.8% 올랐다. 최근 7년간 가장 큰 폭이다. 국제유가와 곡물.원자재값이 오르는 추세가 계속될 경우 물가는 계속 불안할 수밖에 없다.

중국의 경제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률이 연 4.4%를 넘어설 경우 금리를 올리게 되고 중국 경제는 경(硬)착륙을 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블룸버그 통신도 중국인민은행 관계자를 인용해 "소비자 물가가 5% 이상으로 올라 통제하기 힘들어지면 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홍콩=이양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