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처리 불가피성 집중 홍보-신한국당 총파업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신한국당은 노동계의 총파업 사태에 대해 입장이 매우 곤혹스럽다.당이 앞장서 노동계에 불을 질러버린 감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이홍구(李洪九)대표 스스로 인정했듯 상급단체 복수노조 3년유예조치는 당의 작품이었다.경제가 어렵게 된다는 지적에 따라 李대표가 4선이상.3선.재선.초선의원들을 그룹별로 만나 결심을굳힌뒤 20일 총리공관으로 찾아가 이수성(李壽成)총리와 최종협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노동계가 벌집을 쑤셔놓은듯 들고 일어나는데 대해 당은어떤 식으로든 책임을 져야할 형편이다.
당의 대응은 강온(强穩)병행의 형태다.일단 파업주체들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李대표가 27일 주재한고위 당직자 회의에선“다른 노동계 파업은 몰라도 통신공사.지하철공사.병원등 공공기업의 파업에 대해선 정부가 강력히 대처해야한다”는 말들이 나왔다.정부쪽의 관계장관 대책회의에서 나온 결론과 똑같다.
공공기업이 파업하면 당장 피해가 국민들에게 돌아가고 그에 대한 비난 여론이 비등해지는 전례가 있다.따라서 당이 좀 단호하게 나와도 괜찮다는 판단을 하는 것같다.
당으로서는 또 내년 대선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파업이 장기화되고 사회불안이 지속되면 보수층과 소시민등 안정희구 세력이결국은 여당을 지지할 것이라는 판단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물론 강공으로만 가는건 아니다.아직까지는 정도로 온건정책쪽에무게를 두고 있다.李대표는 “노동법이 과거의 모순을 개선,시정한 건데도 국민들은 노동계가 파업을 하니까 노동법이 개악된 것으로 오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속적인 대국민 홍보가 추진되고 있다.李대표 스스로도28일 특별기자회견을 갖고 노사 양측에 대한 당부를 할 예정이다. 여당은 근로자에게 실질혜택이 돌아갈 조치들도 준비하고 있다.당지도부는 곧 당정협의를 갖고 내년 2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예정인.근로자의 생활향상과 고용안정지원에 관한 특별법'제정으로 추가 소요될 2천억원 상당의 예산확보 방안을 논 의할 예정이다. <김종혁.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