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논조>'힘의 논리' 고집하는 네타냐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이스라엘 우익 리쿠드당 정부는 요르단강 서안 점령지에 새로운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하려는 계획에 대한 재정지원책을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긴장을 또다시 고조시켜 급기야 2명의 유대인 정착민이 희생되는 사태를 맞았다.이스라엘정부는 정착촌 지원책이 충분한 정치적.이념적 이유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그러나 그것은 중대한 실수였다.
그것은 요르단강 서안에 작은 자치정부를 세워보려는 팔레스타인사람들의 염원을 완전히 무시한 조치였다.타협에 대한 기대가 무너졌을 때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곤 무력 투쟁밖에 없다.어떻게든 평화를 이뤄보려 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온건파들의 노력은 결국 수포로 돌아가게 될 것이다.이같은 우려는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항상 제기되는 것이지만 이스라엘의 안전 문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다.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총으로무장해 있고 자살 폭탄공격을 감행하고 있으며 외부세계의 광범한지원도 받고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안전 문제는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전임노동당 정부의 이츠하크 라빈 총리와 시몬 페레스 총리는 그 해답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화해에서 찾았다.그것이 완벽하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다.상호 화해의 약속에도 불구 하고 팔레스타인 과격파들은 유대인들에 대한 자살 공격을 계속했다.
하지만 전임 총리들의 해답은 현재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보여주고 있는 현 정책보다 훨씬 낫다.네타냐후의 정책은 상호 화해를 무시하고 일방적인 힘의 논리로 밀어붙이겠다는 것이다.이같은 상황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평화에 대한 믿음 을 가질 수없다. 빌 클린턴 미 행정부는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대정책에 대해 문제만 일으킬 뿐 아무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비판하고 있다.물론 과거 노동당 정부도 정착촌 확대정책을 실시했었다.그러나거기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노동당 정부는 정착촌을 늘 리는 대신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불했다.반면 리쿠드당의 네타냐후는 아무런 대가없이 정착촌을 확대하려 들고 있다.이 점이 바로 클린턴 행정부가 네타냐후의 정책을 거부하는근본 이유다.
미국이 구상하는 중동정책의 목표는 상호 타협에 의한 평화의 달성이다.하지만 네타냐후 정부는 이 목표에서 분명 이탈하고 있다. 클린턴 대통령은 16일 이스라엘의 정착촌 확대를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했다.그러나 문제해결을 위해 미국이취할 구체적 조치들에 대해선 대충 얼버무리고 말았다.그는 네타냐후 총리와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 반이 대화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정도의 대응으로는 안된다.클린턴 대통령은 하루빨리 네타냐후 총리와 직접 만나야 한다.시급한 것은 정착촌 문제가 아니다.클린턴 대통령은 기본적인 정책 방향에 있어 미국과 이스라엘 사이의 간격이 자꾸 벌어지고 있는데 주목해야 한다 .
[정리=김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