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칼럼>투자심리의 안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종합주가지수 7백이 무너지기 전에 이미.정부의 대책외에는 별다른 돌파구가 없다'는 분위기가 증권사 객장을 지배했고 마침내재정경제원이 모종의 대책을 준비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그동안 오불관언(吾不關焉)의 태도를 취해온 정부는 또다 시 코너로 몰리는 처지가 됐다.
주가는 투자자들의 기대의 총화(總和)라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일반적으로 시장은 항상 옳기 때문에 미래에 일어날 불확실한사건을 정확히 평가한다고 본다.그러나 주가는 투자자들의 미래에대한 주관적인 편견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이 편견이 미래에 일어날 사건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해 보자.다시 말하면,어떤 결과가 예측한대로 일어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인즉 애초 예측과 무관하던 미래의 사건이 잘못된 예측의 영향으로 굴곡됐을 수 있다.이같은 예측과 결과간의 상호작용 을 조지 소로스는 예측의 반사성(Reflexivity)이라 불렀다.
이 가정을 받아들인다면 현 시점에서 정부는 다음 두가지중 하나를 택해야 한다.주가에 어떤 형태로든 손대지 않는 것이 옳은방향이라고 믿으면 시장의 기대가 더이상 굳어지기 전에 차단해야한다.잘못 형성된 기대에 끌려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일단 형성된 기대가 어긋날 경우 시장은 무자비한 보복을 가할 것이다.정책의 일관성 결여가 투자자들로 하여금 주식을 외면하게 만든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만일 정부가 판단하기에도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면 최소한 기본방향은 미리 밝히는 것이 좋다.기대 형성을 유도하자는 얘기다.
시장활력소인 유동성과 투자심리중 당장 해결해야 할 것은 얼어붙은 투자심리를 녹이는 것이다.주식시장에 대한 정부 의 관심을 표시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게다가 금융실명제가 장기적으로 각 경제주체들의 금융관행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현실적으로 주식시장 내부의 수요위축을 초래한 것은 사실이고 이를 보충할만한 장기투자수요의 개발을 등한시한 정부의 책임은 피할 수 없다.
시장의 주도세력은 역시 기관투자가다.증안기금이 동원됐고 외국인도 살만큼 산 지금은 기관투자가들이 바통을 이어 받을 때다.
일본의 소유자별 주식분포를 보면 개인의 비중이 70년대에 40%,80년대에 30%이하로 각각 떨어졌다.우리는 아직 36%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기관은 개인에 비해 투자기간이 길기 때문에 유통주식수의 감소를 가져오고 주식시장의 안정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유감스럽게도 개인투자자 없이 기관은 존재할 수 없다.그런 의미에서 투자심리의 안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권성철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